Luo Yi1, Su Xin, Chen Fang2, Huang Yongyang2
Luo Yi(1982-), 여성, 박사 과정 학생, 주로 해양 지질학 연구에 종사, E-mail:wulude@ 163.com.
1. 중국 지구과학대학교 해양학 대학, 베이징 100083
2. 광저우 해양 지질 조사국, 광저우 510760
요약: " 퇴적학 및 자기 분석 "하이난 4호 퇴적체"의 DSH-1C 주상 시료에 대해 주상 퇴적물의 종방향 변화와 해당 지역의 퇴적 환경 변화와의 관계를 관련 데이터를 바탕으로 논의했습니다. 결과는 DSH-1C 기둥형 샘플이 위에서 아래로 3개의 암석학적 단위로 나누어져 있음을 보여줍니다. 표면 퇴적물은 홀로세 MIS1 기간에 점토질 미사가 지배하는 심해에서 반심해 퇴적물입니다. 중력 흐름 층. 퇴적 중간층은 후기 홍적세 MIS2 퇴적물이며, 바닥은 후기 홍적세 MIS3 점토질 미사입니다. 이 원주형 샘플의 평균 x 값은 1.72×10-7m3/kg입니다. 모든 샘플의 IRM은 SIRM의 80% 이상에 도달했으며 S300의 최소값은 0.605입니다. 이 기둥형 퇴적물에는 자성 광물이 거의 없으며, 주로 낮은 보자력 광물이 존재합니다. 이 기둥형 시료의 자기 특성은 육지 물질이 더 많이 유입된 간빙기(MIS1 및 MIS3)에 더 높았습니다. MIS2의 매개변수 값은 빙하기 동안 이 지역의 육상 물질 감소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더욱이, 이 코어 기둥의 유공충 껍질이나 이매패류가 풍부한 중력 흐름층 퇴적물의 낮은 자기 매개변수 값은 이러한 반자성 탄산염 성분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키워드: 자기 특성, 입자 크기 분석, 후기 홍적세, 남중국해
남중국해 북부의 핵심 DSH-1 C 퇴적물의 자기 특성 환경의 중요성
Luo Yi1, Su Xin1, Chen Fang2, Hu uan Yongyang2
1.School of Ocean Sciences, China University of Geosciences, Beijing 100083, China
2.Guangzhou Marine Geological Survey, 광저우 510760, 중국
요약: 남중국해 둥샤(Dongsha) 심해 지역의 피스톤 코어 DSH-1C 퇴적물의 자기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626cm 코어는 3개의 암석학적 단위로 세분화되었습니다: 코어의 상단 간격에 있는 홀로세 점토 미사(단위 I, MIS1); 중간 간격에 3~4개의 주요 모래층이 특징인 후기 홍적세 탁도 순서(단위 Ⅱ) , MIS2) ; 그 다음에는 얇은 미사질 모래 또는 미사층이 얽혀 있는 점토질 미사로 구성된 가장 낮은 순서입니다(Unit Ⅲ, MIS 3). 퇴적물의 평균 X 값은 1.72×10-7m3/kg이며, 모든 샘플 80f 퇴적물 SIRM 이상의 높은 IRM 값을 보인 반면, 모든 샘플의 최소 S300은 0.605입니다. 얻은 자기 특성에 따르면 코어의 퇴적물에는 매우 희귀한 자성 광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추론됩니다. 풍부한 석회질 유공충 껍질을 포함하는 탁도층이 발생한 Unit II 간격에서 특성(X, NRM 및 SIRM)이 관찰되어 카르보나의 희석을 나타냅니다.
반면에, 간빙기(MIS1 및 MIS3)에서 해당 매개변수의 더 높은 값이 나타났는데, 이는 아마도 이 지역의 따뜻한 기간 동안 더 많은 엄청난 잔해가 유입되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주요어: 자기적 특성, 후기 홍적세, 남중국해
0 서문
환경 자기는 중국에서 발견된 이후 점차적으로 자기를 기반으로 하는 분야를 형성해 왔습니다. 1980년대 측정을 핵심 방법으로 자성 광물을 매개체로 하여 자기 방법을 사용하여 환경 영향, 환경 과정 및 환경 문제를 연구하는 새로운 학제적 주제입니다. DSH-1C 원주형 샘플의 최소 S300 값은 0.605이며, 300T의 외부 자기장 하에서 모든 샘플에서 얻은 IRM은 SIRM의 80% 이상에 도달했습니다. 따라서 기둥형 퇴적물은 보자력이 낮은 연자성 광물이 지배적이다.
또한 기둥형 퇴적물의 X, NRM, ARM, SIRM은 깊이에 따라 동일한 변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은 자성광물의 함량이 퇴적물의 자기적 특성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나타낸다. 연구 영역에서.
2.4 자기적 특성과 환경적 중요성
본 논문에서는 자기적 매개변수 X와 S300을 선정하고, 획득된 퇴적 특성과 고지해양학적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분석을 실시한다(그림 5).
그림 5 DSH-1C 기둥형 샘플 x, S300, 깊이에 따른 점토 부피 분율 및 탄산염 부피 분율 변화
2.4.1 자기 매개변수의 변화
The 자기 민감도로 표현되는 해양 퇴적물의 자기 매개 변수는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습니다. 본 논문의 연구분야에서 퇴적물의 자기적 특성은 주로 자성광물의 함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암석단위 I, III 퇴적물의 자성광물 함량이 암석단위 II 퇴적물의 자성광물 함량보다 높다. 더욱이, 퇴적물 자기감수성 값은 퇴적 점토 입자 크기(부피) 비율이 높은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이러한 변화 추세는 남중국해 남부의 NS93-5 구멍과 일치합니다. 황토의 자성광물에 의해 밝혀진 고대기후변화에 관한 이전 연구들[24]은 따뜻하고 습한 기후가 황토의 화학적 풍화작용을 촉진하여 강한 자성을 갖는 고토를 형성하는 반면, 추운 시기의 황토는 자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 변화로 인해 발생지 지역의 쇄설성 광물이 풍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기적 차이가 바다로 유입되어 해양 퇴적물의 자기적 특성이 더욱 강해질 수도 있음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따뜻한 기간에는 약해지고, 추운 기간에는 약해집니다.
따라서 연구 지역에서는 따뜻한 기후의 간빙기 강에서 유입되는 담수량이 더 많아지고 더 많은 육상 물질이 유입되는데[23], 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자기 매개변수 값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특징은 유해 광물 함량이 높은 층(예: 490cm 깊이 간격)에서 분명하게 나타납니다. 퇴적물에는 유해 광물이 더 많을 뿐만 아니라 소량의 목재 잔해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성도 높은 값으로 나타납니다. 추운 MIS2 기간 동안 담수 유입량이 감소하고 해수면이 낮아지며 육지와의 거리도 증가했습니다. 전체적으로 육지 유입량이 부족하여 퇴적물에 자성 광물 함량이 적고 자기 매개 변수 값이 발생했습니다. 이 핵심에서는 이 기간 동안 가장 낮았습니다. 또한, 이 지질시대에는 해수면이 가장 낮았고, 대륙붕에는 여러 개의 중력류 퇴적층이 있다[16-17, 23, 25-28]. [26-27]. 이들의 존재는 이들 층에 있는 퇴적물의 탄산염 함량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중력 흐름 층에서 가장 낮은 자성을 담당합니다.
3 결론
남중국해 북사면의 DSH-1C 주상퇴적물의 입도분석 결과, 자기분석 결과, 탄산염 함량 분석을 통해, SO177-GC10 현장의 퇴적물 코어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1) DSH-1C 기둥형 샘플은 후기 홍적세부터 심해까지의 심해 퇴적물입니다. 홀로세이며, 주요 암석은 점토이며, 여러 층의 중력 흐름 퇴적물이 산재되어 있습니다.
2) DSH-1C 기둥형 퇴적물의 자기적 특성은 깊이에 따라 변화하는데, 이는 주로 퇴적층 내 자성광물 함량에 영향을 받는 것을 보여주며, 퇴적물 내 자성광물 함량은 매우 드물다. 보자력이 낮음. 주로 연자성 광물이며, 퇴적물 자성의 수직 변화는 점토 입자 함량의 변화와 유사하며 탄산염 희석 및 쇄설성 광물 함량의 영향을 받습니다.
3) DSH-1C 기둥형 시료는 MIS1 후기 빙하기(0~152cm)의 따뜻한 기후에 있었으며, 해수면이 가장 높았고, 육지 유입량이 가장 많았으며, 퇴적물 자력이 가장 높았다. MIS2의 마지막 빙하기(약 152cm) 동안의 매개변수 값은 152~470cm의 깊이 범위에서 해수면이 가장 낮고 육지 입력이 불충분하며 자기 매개변수가 가장 낮습니다. MIS3의 마지막 간빙기(깊이 범위 약 470~626cm)는 기후가 비교적 따뜻하고 해수면이 높으며 자기 매개변수가 높습니다.
참고문헌
[1] Evans M E, Heller F. 환경 자기: 환경 자기학의 원리 및 응용[M] London: Academic Press, 1986: 1-127. /p>
[2]Thompson R, Oldfield F. Environmental Magnetism[M]. 런던: Allenamp; Unwin, 1986: 7-174.
[3] Jiang Yuehua, Yin Hongfu, Wang Runhua. 환경 자기의 이론, 방법 및 연구 진행 [J] Acta Earth Sinica, 2004, 25(3): 357-362.
[4] Zhou Yuantao, Zhang Yufen 및 그 응용. 고생물 환경 연구에 적용 [J]. Journal of Engineering Geophysics, 2007, 4(6): 533-540.
[5]Rao V P, Kessarkar PM, Patil SK, et al.Rock Magnetic 및 동부 아라비아해 퇴적물 중심부의 지구화학적 기록: 제4기 후기의 발생학적 및 환경적 영향[J].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1ogy, Palaeoecology, 2008, 270: 46-52.
[6]Kanamatsu T, Ohno M, Acton G, et al. Gardar 표류 퇴적층의 암석 자기 특성, IODP U1314 지점, 북대서양: 중기 홍적세[J]를 통한 바닥 해류 변화에 대한 의미. 해양 지질학, 2009, 265: 31 -19 .
[7] Jia Hailin, Liu Cangyu, Zhang Weiguo, et al. Chongming Island의 CY 홀 퇴적물의 자기 특성 및 환경적 중요성 [J] Acta Sedimentologica Sinica, 2004, 22( 1): 117-123.
[8] Li Ping, Li Peiying, Zhang Xiaolong, et al. 오키나와 해저 퇴적물의 다양한 입자 크기의 자기 특성 및 환경과의 관계 [J]. Bulletin, 2005, 50(3): 262 -268.
[9] Meng Qingyong, Li Anchun, Jin Ning, et al. 동필리핀해 해양의 기둥형 퇴적물의 자기적 특성 [J]. Geology and Quaternary Geology, 2006, 26(3): 57-63.
[10] Meng Qingyong, Li Anchun, Li Tiegang, et al. 필리핀 동해 퇴적물의 지자기장의 상대 강도에 대한 기록 200ka 이후 및 연대순 의미 [J]. 중국의 과학 시리즈 D: 지구 과학, 2009, 39(1): 24-34.
[11] Gu Jiawei, Wang Zhanghua, Li Yanhong, et al. 동쪽 해양 대륙붕의 암석학 및 자기적 특성과 앞구멍 퇴적물의 기원에 대한 논의[J] Acta Palaeogeography, 2006, 8(5): 269-276.
[12] Li Haiyan, Zhang Shihong, Fang Nianqiao. 동티모르 해 MD98-2172 코어의 자기 기록 및 감소 속생 과정 [J]. 제4 연구 저널, 2007, 27(6): 1023-1030.
[13] Novosell, Spence G D, Hyndman R D.자화 감소
가스 수화물 배출구에서 증가된 메탄 플럭스에 의한 이온 생성[J].Marine Geology, 2005, 216: 165-274.
[14]Larrasoana J C, Roberts AP, Musgrave RJ. Greigite의 유전적 형성 및 가스 수화물 해양 퇴적 시스템의 황철석[J].Earth and Planetary Science, 2007, 261: 350-366.
[15]Ellwood BB, Balsam W L, Roberts H H.멕시코 만 퇴적물 소스 및 표면 샘플의 자화율 측정에 따른 퇴적물 추세[J]. Marine Geology, 2006, 230: 237-248.
[16] Huang Yongyang, Suess E, Wu Nengyou, et al. 남중국해 북부 가스 수화물 지질학의 동향 - 중국-독일 협력 SO-177 항해 결과에 관한 특별 보고서 [M] 베이징: 지질학 출판사, 2008: 20-191.
[17 ] Zhang Haiqi, Su Xin, Chen Fang 등. 남중국해 북부의 심해 냉침 퇴적물에 기록된 마지막 빙하 저해수면 탁도, 중국 해양학 및 림프학 저널(출판 중).
[18]Dekkers M J. 환경 자기: 소개[J]. Geologie in Mijinbouw, 1997, 76: 163-182.
[19] Yang Xiaoqiang, Li Huamei, Zhou Yongzhang. 남중국해 남부 NS93-5 구멍 퇴적물의 자기 민감도 및 지구 기후 변화 기록 [J], 해양 지질학 및 제4기 지질학, 2002, 22(1): 31-37.
[20] Meng Qingyong, Li Anchun, Xu Fangjian 등 대륙붕 EC2005 구멍 퇴적물의 자기 민감도 및 입자 크기 구성 요소에 대한 동중국해 상관 연구 [J], 2009, 27 (10): 32-37.
[21] Yang Lijing, Wang Weiguo. 서부 대만 해협 표면 퇴적물의 자기 민감성 특성 [J] Acta Sedimentologica Sinica, 2009, 27(4): 26- 33.
[22] 통지대학교 해양지질학과 편집. 고생물학 개론 [M], 상하이: Tongji University Press, 1989: 241-248.
[23 ] Zhou Bin, Zheng Hongbo, Yang Wenguang, et al. 마지막 빙하기 이후 남중국해 북부의 기원 및 고생물적 환경 변화에 대한 유기적 지구화학적 기록 [J], 2008, 28(5): 407-413.
[24] Deng Chenglong, Liu Qingsong, Pan Yongxin, et al. 중국 황토의 환경 자기 [J], 2007, 27(2): 193-210.
[25] Shi Xueyong. 남중국해 북부 심해 지역의 SO177 항해에서 나온 퇴적물의 입자 크기 및 미세 구조 분석 [D] 베이징: 중국 지구과학 대학교, 2006.
[26] Zhang Fuyuan, Zhang Xiaoyu, Yang Qunhui 등 남중국해 동부
해역의 퇴적물 및 물질 출처에 관한 연구 [J]. Acta Oceanographica Sinica, 2005, 27(3): 79-90.
[27] Chen Fang, Su Xin, D Nurnberg, et al. 남중국해 동사해역 마지막 빙하기 최대기 이후의 퇴적특성 [J]. 해양지질학과 제4기 지질학, 2006, 26(6): 9-17.
[28 ]Chen M T, Huang CY, Wei KY Y. 25,000년 남중국해의 탄산염 보존에 대한 후기 제4기 기록[J].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997, 129: 155-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