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회사기업대전 - 같은 도시에서 셋방을 얻다 - 며칠 늦게 집세를 내는 것은 위약이 아닌가?

며칠 늦게 집세를 내는 것은 위약이 아닌가?

임대료를 체납하는 것은 계약 위반이다. 우선, 임대료가 규정된 기한을 넘긴 것은 위약이고, 임대인은 먼저 위약이다.

집주인은 임대 계약이 만료되기 전에 계약을 해지하려면 제때에 임대인에게 통지해야 한다. 세입자가 제 3 자의 개입으로 일찍 체크아웃하면 임대료 삭감을 요구하거나 임대료를 내지 않을 수 있다.

임차인이 정당한 이유 없이 임대료를 지불하지 않거나 지연하는 경우, 임차인은 임차인에게 합리적인 기한 내에 지불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임차인이 기한이 지나서 지불하지 않으면 임대인은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임대료 체납으로 인한 위약책임과 위약액액은 임대인이 법률이나 계약에 따라 누리는 합법적인 권익이다.

임차인이 임대료를 체납할 때, 임차인은 계약 해지를 요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체임대료를 추징하는 동시에 임차인에게 위약금을 지급하고 임대 계약을 계속 이행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실생활에서 세입자가 임대료를 체납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며, 집주인은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처리해야 한다.

1. 임차인이 생활난으로 일시적으로 임대료를 지불할 수 없는 경우, 집주인은 임차인이 빚진 액수에 따라, 임차인의 소득을 보장하는 전제 하에, 임차인을 체납하는 구체적인 원인을 규명하고, 임차인의 실제 어려움을 돌보기 위해 최선을 다하며, 임차인이 체납계획을 제정하고 시행해 임차인이 할부로 체납금을 상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임대주택 임대료가 확실히 너무 높아서 임차인이 제때에 납부할 수 없습니다. 주택지 부동산 행정기관이 확인하고 합리적으로 임대료를 조정하고 임차인에게 조정된 임대료에 따라 납부하도록 요구할 수 있습니다.

3. 임차인이 임대기간 내에 의외로 사망하면, 계약자가 빚진 임대료는 그 유산에서 공제될 수 있다. 임차인의 유산이 상속되면 상속인은 상속한 유산 점유율에 따라 빚진 임대료를 분담해야 한다. 유산은 빚진 집세를 지불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나머지는 상각해야 한다.

4. 세입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고의로 임대료를 내지 않을 경우 집주인은 법적 수단을 통해 세입자의 위약 책임을 추궁할 수 있다. 임차인이 계약대로 주택 임대료를 지불하지 않을 경우 집주인은 쌍방 자동협상, 관련 조직 조정 요청, 관련 기관 중재 신청, 법에 따라 법원 심리 신청 등 몇 가지 구체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세입자가 임대료를 체납할 때 집주인은 먼저 실제 상황에 따라 세입자와 협의하여 쌍방의 이해와 양해를 얻을 수 있다. 집주인과 세입자가 협상을 통해 합의에 이르면 집주인은 쌍방 단위나 거주위원회를 초청하여 세입자에게 계약에 따라 집세를 지불하는 의무를 이행하도록 독촉할 수 있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집주인은 임대 계약의 관련 규정에 따라 부동산 중재 기관에 중재를 신청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임차인이 임대료를 체납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경우 집주인은 인민법원에 소송을 제기하여 법원에 법에 따라 임차인이 지불해야 할 임대료를 확정하고 임차인의 위약 책임을 추궁할 권리가 있다. 인민법원의 재판 결과는 최고 효력을 지녔으며, 그 판결은 강제집행될 수 있다.

법적 근거:

민법전 제 582 조 규정에 따르면, 이행에 부합되지 않는 것은 당사자의 약속에 따라 위약 책임을 져야 한다. 위약 책임에 대한 약속이나 합의가 명확하지 않고 본법 제 510 조의 규정에 따라 피해자는 표지물의 성격과 손실의 크기에 따라 수리, 재작, 교체, 반품, 세일 또는 보수 등 위약 책임을 부담할 것을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copyright 2024회사기업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