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에서는 이러한 현상의 상당 부분이 한국인들의 태도 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말합니다. 많은 한국인은 주택이 포화 상태이고 부동산 거품이 점차 꺼지고 있는 상황에서 굳이 돈을 빌려 집의 노예가 되어 삶의 질을 낮출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집을 사는 데 썼을 돈을 자신의 삶을 더 다채롭게 만드는 데 사용하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것은 현상을 꿰뚫어봐야 본질을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의 냉각된 부동산 붐의 근본 원인은 정부가 이를 제어하기 위해 시행한 규제 정책이다.
우선 한국은 '보이지 않는 손'인 시장에 전적으로 의존해 규제하지 않고, '보이는 손'인 정부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해 부동산 붐을 제어했다. 정부는 책임을 명확히 한 후 시장에 개입하여 주택 규제 정책을 도입하고 주택 건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특히 심각한 저소득층 주택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 정부는 직접 투자 건설 정책을 채택해 주택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했습니다.
두 번째로, 한국 정부는 부동산 붐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법을 개선하는 등 법의 역할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부단한 노력 끝에 마침내 주택건설촉진법을 중심으로 근로자 주거 안정 및 주택구입자금 마련에 관한 법률, 지방세법, 한국주택은행법, 대한주택공사법 등 우리나라 주거 안정을 위한 법체계를 형성했고, 이는 분명한 효과를 내며 우리나라 주거 안정 시스템 구축의 법적 근거를 마련했습니다.
사실 우리나라의 부동산 과열을 완화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대책은 여전히 '공공임대주택'이다. "공공임대주택은 정부가 일부 재정을 지원하고 국민주택기금에서 일부 재정을 지원합니다. 도시 빈곤층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건설된 비영리 주택과 저소득층과 중산층에 한정된 영리 주택으로 구성됩니다. 많은 공공임대주택은 주택 공급과 수요의 모순을 효과적으로 완화하여 주민의 주거 수요를 최대한 보호하고 부동산 붐을 억제했습니다.
한국의 경험을 바탕으로 볼 때, 중국에서 각종 건설이 한창인 현 시점에서 부동산 붐을 잠재우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태도 변화가 최우선 과제임을 알 수 있습니다. (페이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