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국의 외래종 침입 현황
중국은 세계에서 특히 종 다양성이 풍부한 국가 중 하나입니다. 육상 척추동물은 2,554종, 어류는 3,862종, 고등식물은 약 30,000종이 알려져 있으며, 무척추동물, 하등식물, 균류, 박테리아, 곤충을 포함한 방선균 등이 더 많이 존재합니다. 문헌 기록과 예비 조사에 따르면 중국에는 외래 귀화 식물이 600여 종 알려져 있으며 그 중 외래 잡초 108종이 있으며 76속 23과에 속하며 15종은 국가 또는 지역으로 간주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 심각한 해를 끼치는 외래동물은 약 40여종에 달한다. 곤충으로는 아메리카흰나방, 소나무회충, 참송가루깍지벌레, 쌀물바구미, 아메리카점박나방, 소나무재선충, 지팡이납작나방, 사과솜나방 등이 있다. 진딧물, 필록세라, 점박이 진드기, 감자 딱정벌레, 작은 흰개미, 붉은 딱정벌레 등. 다른 이국적인 동물로는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거대병달팽이, 동아프리카가 원산지인 갈색구름달팽이,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사향쥐, 구소련이 원산지인 다람쥐,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뉴트리아 등이 있습니다. 외래 물고기의 유입은 지역 어종과 호수 생태계에 큰 위협이 됩니다. 윈난 수역의 생물 다양성에 가장 큰 위협은 초어, 은잉어, 큰머리 잉어, 태호새 멸치와 같은 침입성 외계 어류입니다. , 밀 수이 물고기, Ziling의 망둥어, Bo의 주둥이 망둥어 등 현재 농업에 더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외래 미생물이나 질병으로는 벼병(Xanthomonas oryzicola), 감자암(Synchytrium endobi-oticum), 콩 마름병(Phytophthora megasperma), 목화 시들음병(Verticillium alboatrum), 감귤 황룡병, 감귤 궤양 등이 있습니다. (Xanthomonas citri), 카사바 세균 시들음 (Xanthomonas campestris pv. manihotis), 담배 고리 반점 바이러스, 토마토 캔커 (Clavibacter michiganensese subsp. mishiganen), Ditylenchus spp.
그러나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수많은 생물종 중 얼마나 많은 외래종이 있는지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동시에 중국은 외래종에 취약하다. 우리나라는 남북 5,500km, 동서 5,200km, 위도 50도, 5개 기후대(한온대, 온대, 온대, 아열대, 열대)에 걸쳐 있기 때문에 각지에서 오는 외래종이 대부분이다. 세계는 우리 나라에서 적합한 서식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침입외래종 문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a. 광범위한 적용범위: 전국 34개 성, 자치구, 자치구에서 침입종이 발견되었습니다. . 2002년 5월까지 중국 정부는 국가 전체 면적의 약 9%에 해당하는 1,500개의 자연 보호 구역을 지정했습니다. 소수의 외딴 보호 구역을 제외하면 어느 정도 침입종이 발견될 수 있습니다.
b. 관련된 생태계가 많습니다. 숲, 농업 지역, 수역, 습지, 초원, 도시 주거 지역 등을 포함한 거의 모든 생태계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가운데 저고도 지역과 열대도서 생태계가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다.
c. 척추동물(포유류, 조류, 양서류, 파충류, 어류), 무척추동물(곤충, 갑각류, 연체동물), 식물, 박테리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종이 있습니다. 예는 바이러스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바이러스.
d. 초래된 피해는 심각합니다. 우리나라의 많은 지역에서는 원시림의 삼림 벌채가 중단되었으며, 인간에 의한 추가적인 생태 파괴가 현재의 주요 원인이 되었습니다. 특히 수생 생태계와 남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경우 생태학적 파괴와 생물 다양성의 손실이 첫 번째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떠올랐습니다.
2. 외래종 침입의 주요 경로(경로)
생물학적 침입의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인간의 활동이 외래종을 존재해서는 안 될 곳으로 데려왔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이러한 종을 "유해하다"라고 부르는 것은 실제로는 이들 종에게 불공평한 일이며, 이러한 오류의 원인은 생태 환경의 안전을 향한 인간의 무책임한 행동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활동. 침입외래종 문제의 핵심은 인간이 만든 것이다.
도입은 인간을 그 범위를 넘어 중간 영역으로 사용하여 종, 아종 또는 하위 분류군(생존하고 이후 번식할 수 있는 모든 부분, 배우자 또는 번식체 포함)을 자연 분포로 이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이러한 이전은 주 내 또는 주 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소개는 의도적인 소개와 의도하지 않은 소개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의도적 도입은 인간이 의도적으로 종을 자연적인 분포 범위와 확산 가능성을 넘어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이러한 도입은 승인되거나 승인되지 않을 수 있음).
의도하지 않은 유입이란 인간이나 인간의 전파 체계를 매개로 하여 종이 의도치 않게 유입되어 자연 분포 범위를 벗어난 곳으로 확산되는 것을 말합니다.
외래종은 이 두 가지 방법을 통해 타국으로 유입됩니다.
·의도적 도입
중국은 오랫동안 외국이나 해외에서 우수한 품종을 도입해 온 역사를 갖고 있다. 초기 도입은 종종 민족 집단의 이주와 지역 간 무역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신콩(Tamarindus indica)과 중앙아시아가 원산지인 포도(Vitis vinifera), 알팔파(Medicago sativa), 석류(Punica granatum), 잇꽃(Carthamustinctorius) 등 경제용 식물의 종자는 기원전 4년경부터이다. 각각 1세기와 1세기에 고대의 유명한 "Shu-Shendu(즉 인도) 길"과 "실크로드"를 통해 우리 나라에 소개되었습니다. 그 후 북송시대에도 알로에(Aloe barbdensis 또는 A. vera var. chinensis)가 있었고(원산지는 아프리카 북동부이며 현재는 중국 남부 해안지역에 귀화), 17세기에는 고구마(Ipomoea batatas), 담배(Nicotiana tabacum), 시계꽃(Passiflora coerulea) 및 기타 경제용 식물이 중국에 도입되었습니다. 이전에 네덜란드인들은 Leucaena leucocephala, Acacia Farnesiana, Hylocereus undatus 등과 같은 일부 미국 종을 대만에 도입했습니다. 위 종의 대부분은 나중에 야생 식물로 귀화되었습니다. 1842년 아편전쟁이 끝난 후 홍콩, 광저우, 샤먼, 상하이, 칭다오, 옌타이, 다롄 등의 항구는 외국 잡초가 중국으로 들어오는 주요 입구가 되었습니다. Conyza bonariensis(1857), Conyza canadensis(1862), Erigeron annuus(1886) 등의 잡초가 홍콩, 옌타이, 상하이 등의 항구에 잇달아 상륙하였고, 점차 내륙으로 확산되었다. 일부 재배 식물의 도입 시간과 탈출 위치는 상대적으로 불규칙합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 선교사들이 한때 쓰촨성 성커우 교회 근처에 유럽 금화(Ulex europaeus)를 도입한 후 대량으로 탈출했습니다.
요즘에는 거의 모든 재배 및 사육 단위가 다른 곳이나 외국에서 온 종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서 또는 단위에는 농업, 임업, 원예, 수산물, 축산업, 특수 사육 및 다양한 육종 및 사육 기지가 포함됩니다. 대부분 경제적 이익 증대, 관상용 관람, 환경 보호 등의 목적으로 도입되고 있으나 일부 종은 부적절한 도입으로 인해 유해종으로 전락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알려진 외래유해식물 중 50% 이상이 인공적으로 유입된 결과이다.
의도적 도입의 목적은 다양하며 크게 다음과 같은 측면으로 나눌 수 있다.
목초 또는 사료로
목초 또는 사료로 도입하여 침입 사료 Alternanthera philoxeroides, 알팔파, Melilotus albus, Malvastrum coromandelianum, Panicum maximum, Phleum pratense, Pennisetum Pennisetum setosum), 수단풀(Sorghum sudanense), 페르시아 호밀풀(Lolium persicum), Pistia stratiotes, Hordeum jubatum 등 많은 예가 있습니다. , Eichhornia crassipes 등 우리나라의 축산업은 오랫동안 과도한 방목과 목초지의 품질 저하로 인해 다양한 곳에서 고품질의 빠르게 자라는 새로운 사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이는 외국 잔디 종자 회사가 잔디 종자를 버릴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중국으로. 현재 다수의 새로운 목초지 실험이 진행되고 있는데, 주로 외국 잔디 종자 회사가 제공하는 품종이 우리 땅에서 빠르게 자랄 수 있는지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것입니다. 걱정스러운 것은 이러한 잔디 종 중 일부가 위험한 침입 외래종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Alternanthera philoxeroides는 일반적으로 "물 땅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풀은 1950년대 이후 남부의 여러 곳에 돼지 사료로 도입되어 퍼진 후 야생으로 사라졌습니다. 1986년 조사에 따르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물꼬리의 면적은 약 889,600hm2이며, 야채, 고구마 및 기타 농작물과 감귤 과수원에서 주요 해충이 되었습니다.
관상용 식물로서
이국적인 꽃과 식물에 대한 추구로 인해 사람들은 외국 또는 외국의 꽃과 식물 품종을 지속적으로 도입하게 됩니다. 이러한 꽃과 식물은 필연적으로 정원에서 탈출하며, 자연적으로 자랄 때 이러한 이국적인 관상용 식물 중 일부는 탈출하여 Ageratum houstonianum, Coreopsis lanceolata 및 Cosmos bipinnata, Helenium fallale, Tagetesecta, Canada Goldenrod와 같은 위험한 침입 외래 종이됩니다. , Pharbitis nil, P. purpurea, Lantana camara, Mimosa pudica ), Oxalis corymbosa, Zephyranthes grandiflora, Ulex europaeus, Hymenocallis littoralis 등
수족관과 가정용 수족관의 인기로 인해 일부 이국적인 수생 식물이 침입성 외래종이 되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이 원산지인 Cabomba caroliniana는 현재 저장성 강에 나타났고, 남미가 원산지인 Myriophyllum aquaticum은 대만에 귀화되었습니다. 전자는 꽃만 피고 열매를 맺지 않으며, 후자는 암수만 있어 둘 다 종자를 생산하지 않지만, 무성생식을 통해 급속히 확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드리아 해에서 프랑스 수족관에 도입된 녹조류(Caulerpa Taxfolia)는 포자를 방출하고 현지 프랑스 해양 생태계에서 지배적인 개체군을 형성하여 많은 수의 토종 해양 식물이 멸종되었습니다. 란타나 카마라는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입니다. 1645년 네덜란드인에 의해 대만에 소개되어 관상용 식물로 재배되었습니다. 현재 중국의 열대 및 남부 아열대 지역으로 확산되어 현지 식물을 몰아내고 도로를 막고 있습니다. 냄새가 나고 줄기에 가시가 있어 해로운 관목입니다. 그 다육질의 열매는 지역 새들의 쪼개짐을 통해 더욱 퍼집니다. 수족관에 흔히 보관되는 청소부로는 라틴 아메리카에 서식하는 Plecostomus punctatus 종이 있습니다. 최근 보고서는 베이징 난창강, 주강, 남쪽 한강에서 수집됐다. 대만 이란현 동산강에서 보고된 이 종은 이란에 천적이 없으나 번식력이 매우 강하고 한 번에 300~500개의 알을 낳으며 부화율은 거의 100%이다.
다른 물고기의 알을 먹으며 대만의 토종 어종은 점차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이란에서는 어류 제거 작업도 시작했습니다.
약용 식물
중국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는 12,000여 종의 유기체 중 대부분은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일부는 외래종이고 일부는 침입 종이 되었습니다. .
환경 개선 식물로서
생태 환경 악화, 식생 파괴, 토양 침식, 수질 오염 등 오랫동안 우리를 괴롭혀온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해 사람들은 종종 이러한 특성은 외래종의 침입에 좋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현재 많은 지역에서 활발한 재녹화 노력이 진행되고 있지만, 사용되는 종 중 일부는 위험한 외래종입니다. 이미 일부 침입종이 있으며, 전형적인 예로는 Spartina alterniflora, Mikania micrantha 및 Eichhornia crassipes가 있습니다. Spartina alterniflora는 1979년 미국 동부 해안의 염습지 식물에서 도입되었습니다. 1980년 10월 복건성 연안 및 기타 지역에 처음으로 시험 식재되었으며, 이후 대규모 홍보를 거쳐 1982년에는 장쑤성, 광둥성, 절강성, 산동성 등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도입 원래 목적은 해수욕장 보호, 토양 개선, 해수욕장 녹지 개선, 해수욕장 생태환경 개선 등이었다. 현재 이 종은 저장성, 복건성, 광둥성, 홍콩 등 넓은 지역에 퍼져 있다. 1990년에는 복건성 닝더 동우양 지역의 양식업에서만 연간 1천만 위안 이상의 손실을 입었다. 이 종은 해안 지역에서 지역 어업 생산에 영향을 미치고 맹그로브 숲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가 되었습니다.
외래종은 도시 경관 건설 및 조경에도 널리 사용되며 종종 지역 생태계와 경관에 완전한 변화를 가져옵니다. 잔디산업을 예로 들면, 전국 도시에 다양한 기능의 잔디밭(골프장, 축구장, 공원 녹지 등)이 대규모로 건설되면서 우리나라 잔디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잔디종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현재 사용되는 잔디종은 주로 해외의 우수한 잔디종입니다. Zoysia materlla 종자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잔디 종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1997년에만 수입량이 2,000톤을 넘었습니다. 1990년 현재 우리나라에는 주로 미국에서 114종의 한지형 잔디가 도입되었습니다. 카펫풀(Axonopus Compressus)과 같이 침입성이 있는 일부 종은 이미 존재합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광활한 영토와 풍부한 생식질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풀 종자 선택에 있어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음식으로서
미식은 우리나라의 전통문화 중 하나로, 음식의 다양성에 대한 강조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뛰어나다. 사람들은 음식의 색, 향, 맛, 새로움과 새로움을 추구하기 위해 식용 가능한 동식물을 대거 도입하지만, 이것이 도입된 Tetragonia tetragonioides 및 Amaranthus caudatus와 같은 생물학적 침입도 일으킬 것이라는 사실은 알지 못합니다. 야채로, 바셀라 알바(Psidium guajava), 과일로 도입된 파시플로라 에둘리스(Passiflora edulis), "젤리"를 생산하는 원료로 니칸드라 피살로이드(Nicandra physaloides), 식용 동물로 거대 병 달팽이 및 갈색 구름 등이 있습니다. 사향쥐, 뉴트리아 등 일부 포유류의 가죽은 경제적 가치가 높습니다. 사람들은 가죽을 얻기 위해 넓은 지역에서 번식을 장려했으며 이로 인해 생물학적 침입도 발생했습니다. Ampullaria gigas는 번식과 식용 목적으로 브라질계 중국인에 의해 1981년 광둥에 도입되었습니다. 1984년부터 거대병달팽이는 광동성, 복건성, 운남성 및 기타 지역에서 널리 양식되었습니다. 과도한 번식과 맛이 좋지 않아 야생으로 방출되었습니다. 거대 병달팽이는 적응력과 번식력이 강하고 식욕이 크며 먹이도 다양합니다. 빠르게 확산되어 야채와 수생 작물에 피해를 줍니다.
1988년 이래로 거대 병달팽이는 광둥성 37개 현의 25,000hm2 토지에 막대한 손실을 입혔습니다.
대마 작물로는
Abutilon theophrasti, Cannabis sativa 등 고대에 도입된 일부 대마 작물이 이어져 이러한 대마 작물의 재배가 이어졌고 목화가 도입되면서 점차적으로 제거되어 여러 곳에서 잡초가 되었습니다.
애완동물로
도시에서 애완동물로 널리 사육되는 동물도 있고, 작은 해바라기 앵무새(Cacacatua sulpurea), 무지개빛 진훙 잉꼬(Trichoglossus) 등 생존 능력이 강한 앵무새도 있습니다. haematotus)는 해당 지역에서 야생화 된 후 그 수가 크게 증가하여 열매 맺는 관목을 과도하게 이용하거나 어린 잎을 과도하게 이용하여 지역 식물에 해를 끼칩니다. 브라질거북(Trachemys scripta)은 이미 세계적인 침입외래종입니다. 현재 브라질거북은 우리나라 북부에서 남부까지 거의 모든 애완동물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브라질 거북의 위험성을 보고하지 않았지만 세계 보존 연합(IUCN, 2001)은 브라질 거북을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침입종 100종 중 하나로 지정했습니다. 또한 브라질 거북은 질병의 매개체이기도 합니다. 전염. 남미에서 대만으로 '애완 쥐'가 유입되면서 질병 확산 우려도 커지고 있다.
양식종으로서
양식업은 우리나라의 중요한 산업 중 하나이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강, 호수, 연못, 저수지, 논, 공원 등 농업에 이용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물은 어느 정도 이용됩니다. 관련된 외래 종에는 Procambius clarkii, Macrobrachium rosenbergii, Cheraxquadricianalus, 무지개 송어(Oncorhynchus mykiss), 입 부화 비붕어(Tilapia sp.), 유럽 뱀장어(Anguilla anguilla), 저어새 철갑상어와 같은 해외에서 도입된 종들이 포함됩니다. (Polyodoh spathula), 민물 흰병어(Colossoma brachypomum), 채널 메기(Morone saxatilis), 캘리포니아 배스(Micropterus salmoides), 줄무늬 삭사틸리스(Morone saxatilis) 및 황금눈 삭사티스(Morone saxatilis)와 같은 일부 육식성 어류(특히 작은 물고기) Morone chrysops) 등이 있습니다. 이르티시 강에서 Perca fulviatilis가 유입되면서 신장 보스텐 호수에서 신장 큰머리 물고기(Aspiorhynchus laticeps)가 멸종되었습니다. 해외에서 유입된 이러한 어종들 외에도 '4대 어류'(풀은잉어, 큰머리잉어) 등 우리나라 남부의 토종 어종들이 북서부와 남서부의 고지대에 유입되어 왔습니다. 이들 어종의 유입으로 가져온 물고기 작은 쓰레기 물고기(망둥어, 밀귀 물고기 등)로 인한 피해는 외래종 못지않다. 윈난성 치루호(Qilu Lake)와 싱윈호(Xingyun Lake)에서 큰머리잉어(Aristichthys nobilis)를 양식함에 따라 치루호와 싱윈호의 현지 어종인 Cyprinus pellegrini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이제는 인공 사육에 의존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중국은 인공육종을 위해 1940년대 초 일본에서 프로캄비우스 클라키(Procambius clarkii)를 도입했습니다. 대부분의 수생 생물과 달리 암컷 Procambarus clarkii는 스스로 알을 부화하므로 인공 부화에 돈을 쓸 필요가 없습니다. 연못에 방류량이 채워지면 Procambarus clarkii는 자급자족하게 되며 수확 후 다시 방류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cambarus clarkii는 종종 다른 작물, 특히 쌀과 함께 다종 재배됩니다. 수확기에 탈출한 개체들은 제방에 구멍을 파서 살아 남았습니다. 다음 시즌에는 번식 개체군이 형성되어 남은 작물과 기타 음식을 먹고 살아갑니다. 안후이성 난징과 추현현에서 처음으로 양식되었으며 이후 중국 중부, 북부, 남부로 확산되어 야생에서 많은 수의 개체군을 형성했습니다.
외부 방출
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태국, 한국, 캄보디아에서는 포획된 동물, 특히 새, 물고기, 거북이를 방출하는 선행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방출된 새의 6%는 외래종입니다. 대부분의 물고기, 거북이, 거북이는 해외에서 포획되어 가둬져 있는 종이며 이러한 종은 침입적일 수 있습니다[10]. 분명히, “선을 행한다”는 문화적 의미는 토착 생태계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사람들이 침입외래종에 대한 개념이 없고, 침입외래종으로 인한 피해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남부에는 야생동물을 먹는 나쁜 습관이 있다. 또 야생동물을 애완동물로 활용하거나 한의학의 재료로 활용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불법 야생동물 거래가 만연하고 있으며, 인근 국가,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야생동물이 대량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일부 야생동물은 먼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에서도 우리나라로 유입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도 불법 야생동물 거래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압수된 야생동물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종종 걱정과 골칫거리가 됩니다. 밀수입된 야생동물 중 다수가 외래종이거나 외래 야생동물 질병을 옮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압수된 외국 야생동물을 무작위로 방류하는 것은 일부 종의 죽음으로 이어질 수도 있고, 다른 종은 생물학적 침입을 야기하여 국내 야생동물이나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을 가할 수도 있는 결과는 방생자의 원래 의도에 어긋납니다.
식물원, 동물원, 야생동물 공원 소개
우리나라의 많은 도시에는 동물원, 식물원, 새 공원이 있습니다. 많은 외래 식물이 식물원에서 탈출하여 귀화하고 있으며, 침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동물원에서는 침입 문제를 보고하지 않았지만 야생에서 자연적으로 번식하는 종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찌르레기(Acridotheres cristatellus)는 베이징에서 자연 개체군을 형성했습니다. 특히 지금은 곳곳에 야생동물 공원이 조성되고, 많은 종이 자연지역에 산재해 있는 상황에서, 동물원 내 외래종(외래 야생동물 질병을 옮길 수 있는)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 대책이 강화되지 않는다면 식물원은 , 조류 공원 및 야생 동물 공원, 이러한 잠재적인 외래 침입종은 치명적인 생태학적 침입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부주의한 유입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많은 침입외래생물이 의도치 않게 유입되고 있습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비행기, 선박, 기차, 자동차 및 기타 교통 수단을 통해 사람 및 제품과 함께 밀항자 또는 "히치하이커"로서 새로운 환경에 소개됩니다. 특히 최근에는 국제무역의 지속적인 증가, 지속적인 외환거래의 확대, 국제관광의 급속한 가열로 인해 이러한 경로를 통해 침입외래생물이 우리나라로 유입되는 경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운송, 건설 및 개발 외에도 군사 이전, 특급 서비스, 편지 우편 등도 의도치 않게 외래종을 유입할 수 있습니다.
의도하지 않은 유입의 주요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러나 일부 침입 유기체는 한 가지 방법으로만 유입되지 않고 두 가지 이상의 경로를 통해 교차 유입될 수 있습니다. 아마도 두 번 이상. 다중 경로와 다중 유입은 외래생물의 식민지화 및 확산 가능성을 증가시킵니다.
인류의 교통수단으로 유입된
교통로를 따라 많은 외래종이 유입되어 확산되고, 도로나 철도 주변의 식생이 파괴되고 황폐화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곳은 외래종이 먼저 또는 자주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돼지풀은 주로 철도와 고속도로 양쪽에서 발생하며 원래는 북한에서 기차를 통해 유입되었고, Rattus norvegicus와 신장의 노란가슴쥐도 철도를 통해 본토에서 유입되었습니다.
배로 운반
바다에서는 대륙의 고립 등 외부 환경의 한계로 인해 수억 년에 걸쳐 수만 종의 생물이 형성됐다. 바다와 온도 변화 사이의 차이, 물과 저염도 하구 유출수의 차이로 인해 많은 유기체 종들이 지역 해역에서만 살 수 있으며 해당 해역의 고유종 또는 자생종이 됩니다. 또한 성충이나 유충이 헤엄치거나 떠다니는 현상, 해류와 조류의 전달, 특정 동물(예: 거북, 고래, 바닷새)의 이동으로 인해 분포 범위가 확장되어 널리 퍼진 종이 된 일부 유기체도 있습니다. ). 그러나 일부 유형의 이동은 인간의 선박 운반과 관련이 있습니다.
운반 방식은 주로 평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이다. 밸러스트수는 일반적으로 선박의 출발항이나 선박이 통과하는 연안 해역에서 나옵니다. 매년 전 세계적으로 선박을 통해 운반되는 평형수는 100억 톤으로 추산됩니다. 따라서 많은 박테리아, 식물, 동물도 흡입되어 다음 기항지로 옮겨집니다.
우리나라 연안 해역에는 약 16종의 유해 적조생물이 존재하며, 이들 중 대부분은 주로 평형수 및 기타 경로를 통해 전 세계 연안 해역으로 확산됩니다. 외래종 적조로 인해 우리나라 연안의 적조 현상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3]. 선박을 통한 또 다른 도입 방법은 고착성 유기체(예: 따개비)를 선박에 부착하여 새로운 지역으로 가져오는 것입니다. 이러한 외래생물이 유입된 후 일부 종은 원래의 생태관을 근본적으로 파괴하거나 변화시켰습니다. 예를 들어 육식성 붉은달팽이(Rapana thomasiana)는 1947년에 일본해에서 흑해로 이주했습니다. 그것은 흑해의 타우타 해변을 거의 완전히 파괴했고 굴은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선박에 실린 생물학적 번식체는 선박이 침몰하여 파도와 함께 해안에 휩쓸려간 후 폐기되거나 탈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의 일부 무인도에서 자라는 Kalanchoe spathulata와 알로에베라는 초기에 선박에서 폐기될 수 있습니다.
해양 쓰레기
폐플라스틱과 기타 인공 잔해 속에 떠다니는 해양 생물이 남극 대륙과 일부 열대 섬으로 유입되어 지역 생물종에 위협을 가하고 있습니다. 이 쓰레기는 아열대 지역으로 퍼지는 유기체의 수를 두 배로 늘렸고, 고위도 지역에서는 세 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해양 생물은 코코넛이나 나무처럼 자연적으로 떠다니는 물체보다는 플라스틱 용기와 같은 비분해성 쓰레기 위에 떠다니는 것을 선호하므로 전 세계 거의 모든 곳에서 부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