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회사기업대전 - 중국 기업 정보 - 다이현에서 일자리를 찾고 있습니다

다이현에서 일자리를 찾고 있습니다

1937년 7월 7일, 산시(山西)성 우타이현(五台縣)에 살던 량쓰청(梁思成)은 베이징에 아주 좋은 소식을 전하는 전보를 보냈다.

그날 밤 발생한 마르코 폴로 다리 사건이 이 나라의 운명과 자신의 학문적 경력을 완전히 바꿔 놓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7년 전, 미국에서 건축학을 전공한 량쓰청(梁思成)과 그의 아내 린휘인(linhuiyin)은 중국 최초의 고대 한어 전문 학술기관인 '중국건축학회'에 가입했다. 건축학.

이듬해 그들은 천단, 자금성 모퉁이 탑, 문원 관 유지 관리에 공동으로 참여하고 학술 논문 "청조 건설 규칙"을 출판했습니다. ..

북송의 건축 경전 『건축법』을 해독하기 위해 도적과 군벌이 난무하고 일본이 한걸음씩 전진하던 1932년부터 1937년까지 두 사람과 그 동료들은 아카데미는 전쟁의 안개 속에서 시간을 다투며 130개 이상의 카운티와 도시를 방문하고 1,500개 이상의 고대 건물을 조사했으며 1,800개 이상의 측량 및 지도 작성 원고를 완성했습니다.

이 고대 건축물 중에는 천년 가까이 된 요왕조 건물과 세계에서 가장 높은 목탑이 있지만, 일본의 주장을 깨뜨릴 수 있는 당나라 건물은 아직까지 찾아볼 수 없습니다. .

학회가 처음 설립되었을 때 일본 건축 사학자들을 초청하여 교류를 펼쳤습니다. 일본 학자들은 중국에 당나라 건물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본에.

당시 일본 학자들은 거의 30년 동안 중국 전역의 중국 기념물을 조사해 왔고, 건축학회는 이제 막 시작되었습니다. 일본 건축사가 세키노 사다(Sekino Sada)는 유난히 긍정적인 어조로 다음과 같이 단언했습니다. “중국 전역에 목조 유물의 존재는 실망스러울 정도로 부족합니다. 사실 중국과 한국에는 천년 된 목조 건물이 단 한 채도 없습니다. 그러나 일본에는 30개가 넘는 목조 건물이 있습니다. 천년에서 천삼백년 전의 건물들."

이러한 결론에 직면했을 때 그들은 도저히 반박할 수 없었다.

1937년 6월 말, 오랜 준비 끝에 양사성, 린휘인, 제자 모종장, 기위탕은 산서성으로 출발해 우타이현 두촌 포광사로 갔다.

"건축가인 아내 린희인과 여러 스태프들이 북평에서 타이위안으로 갔다가 버스를 타고 80마일 떨어진 동예로 갔습니다. 동예에서 우리는 노새 수레를 타고 짧은 거리를 갔습니다. 사람들은 비포장도로를 따라 우타이산으로 들어갔습니다. 그 당시 그들은 길을 따라 우리가 찾고 있던 사찰이 있다는 것을 몰랐습니다. 우리는 두촌(Doucun)을 약 3마일 지나서 포광사(Foguang Temple) 문으로 들어갔습니다."

5년 전 조사한 바에 따르면 동관 앞에 섰을 때 이곳이 고대 건물임을 한눈에 알 수 있었다.

네 사람은 이틀 동안 포광사 상하, 안팎을 조사하고 지도를 작성했지만 여전히 당나라 건물인지는 확신할 수 없었다.

3일째, 시력이 좋은 린휘인은 갑자기 양쓰청에게 "빔 아래에 글이 있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여러 사람이 곧바로 마을로 갔다. 비계를 세우는 데 도움을 줄 사람을 찾기 위해 Ji Yutang은 그것을 물로 닦은 후 한 줄의 말이 드러났습니다. 전 우군 중위 Wang Fo Palace Master가 파견되었습니다. 여제자 닝 공우(Ning Gongyu).

그녀는 성전 밖에 있는 석조 경전 건물에서 비슷한 직함과 이름을 본 것을 기억했습니다.

그녀는 즉시 본당에서 나와 경주에 적힌 글귀를 다시 살펴 보았다. 같은 이름이 그녀의 눈앞에 분명하게 보였다. 불전(佛堂)'이라고 적혀 있는데, 경주에 적힌 날짜는 당나라 대종 11년, 즉 서기 857년이다.

동당이 실제로는 당나라 건물이라는 것이 드디어 확인됐다.

나중에 Liang Sicheng은 기사에서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사찰은 여성이 기증했습니다! 그러나 젊은 건축가이자 여성인 우리는 중국에서 가장 희귀한 고대 사원의 기증자 역시 여성이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했습니다.

불광사 동전은 현존하는 중국 최대 규모의 당나라 건축물로, 양사성 선생은 “국내 고대 건축의 첫 번째 보물”이라며 “사찰 건물 자체가 웅장하다”고 말했다. 이미 당나라 건물입니다." 또한 사찰에는 당나라의 원본 동상, 그림, 먹 얼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나라 건축, 회화 조각, 벽화 및 잉크 얼룩이 모여 있습니다. 네 가지 예술이 하나로 집결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물리적 유물 중에서는 보기 드문 보물입니다.” p>

몇 년 후, 모쭝장(梁宗張) 씨(양사성(梁思成)과 린휘인(臨喜宁)의 제자이자 칭화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은 그 시절을 회상했다. of 79, "포광사에서 선생님이 너무 기뻐하셨어요! 당나라 건축물을 처음 봤어요!”

그것이 바로 양사성과 린희인이 평생에 걸쳐 고대 건축을 탐구한 정점의 순간이었습니다.

1937년 7월 7일 포광사를 떠난 일행은 우타이현에 도착해 곧바로 북평에 좋은 소식을 전했다. 이틀 뒤 베이핑모닝뉴스는 전보 내용을 공개했다.

이후 4인 일행은 “타이페이 화주사(淮柱寺)까지 여행하고, 후타강을 따라 베이타이를 건너 사허진에 이르고, 판즈를 지나 다이현에 이르렀고, 루차오 봉화에 대한 소식만 들었다”고 말했다. 작업 둘째 날, 5일 넘게 전쟁이 발발했다.” 그들은 즉시 조사를 마치고 베이징으로 돌아갔다.

두 달 뒤, 조국의 노예가 되느니 차라리 죽음을 택한 량쓰청과 린휘인은 자녀들과 함께 후방으로 물러나 반유배 생활을 시작했다.

린휘인은 선충문에게 보낸 편지에서 “마르코폴로 대교 사건부터 현재까지 우리는 짐과 아이들, 어머니를 짊어지고 중국의 모든 철도를 여행했다. 창사에서 16번의 승하차, 호텔 출입을 12번이나 했다.

베이징에서 창사까지, 창사에서 쿤밍까지, 그리고 쓰촨성 리좡까지 린휘인의 폐병은 결핵으로 악화됐다. , 양사성은 허리가 완전히 굳어졌고, 아들의 다리에는 옴이 생겼으며, 가족은 가난과 질병에 시달렸습니다.

부부는 절친한 친구인 미국 학자 페어뱅크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가족은 혼란에 빠졌고, 후이인은 몇 달 동안 심각한 병에 걸려 침대에 누워 있었다. 정말 슬프네요."

p>

"저의 두 아이는 점점 디킨스 빈민가의 가난한 아이들처럼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들의 다리는 여러 가지 모기에 물린 상처로 뒤덮여 있고 더 이상 모습이 보이지 않습니다. 다리처럼."

페어뱅크는 한때 량린에게 미국으로 가서 일하고 치료를 받도록 설득했지만 부부는 거절했다.

그들은 페어뱅크와 그의 아내에게 다음과 같은 답장을 보냈습니다. "우리 조국은 재앙에 빠졌습니다. 우리는 그녀를 떠날 수 없습니다. 총검이나 폭탄으로 죽어야 한다면 우리는 조국 땅에서 죽어야 합니다." p >

어느 날, 그의 아들 양충결이 린희인에게 "일본이 정말 쓰촨성을 침공하면 어떡하지?"라고 물었다.

린휘인은 침착하게 "중국 학자들에게는 탈출구가 있다. 우리 집 바로 앞에는 양쯔강이 있지 않나요?"

그런 상황에서 그들은 '중국 건축사'를 쓰기 시작했다. 척추 질환으로 인해 Liang Sicheng은 글을 쓰기 위해 고개를 숙이는 것이 어려웠으며, 턱을 지탱할 꽃병을 찾았고 종종 밤늦게까지 등잔을 켜고 일했습니다.

린휘인은 결핵으로 인해 자주 열이 나고 일년 내내 침대에 누워 지내야 했지만, 상태가 호전될 때마다 양쓰청을 도와 사료 검토, 원고 교정 등을 도왔다.

원고가 완성될 무렵, 양사성(梁思成)은 『건설학회 거래』의 출판을 재개하고 포광사에 관한 기사를 출판했다.

한 기사에서 그는 불광사의 운명에 대해 상당히 걱정하고 있었는데, 당우가 있던 두촌은 무명에서 신문에 계속해서 등장하고 때로는 우타이산을 공격하는 일본 기지가 되기도 했다. 때로는 중국의 반격의 표적이 되기도 했습니다. 전쟁 후 당나라 건축물의 남은 부분은 매우 의심스럽습니다. 나는 내 사진과 그림이 유일하게 살아남은 기록이 되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리좡에 있을 때 양사성은 항일전쟁 승리 후 린휘인과 함께 전국 각지의 고대 건축물을 방문하는 꿈을 자주 꾸었다.

그러나 그들의 몸은 쇠약해졌고, 저항전쟁과 내전, 각종 움직임이 잇달아 일어나 두 사람이 다시는 함께 여행할 수 없게 됐다.

양사성과 린휘인의 학문적 탐구의 정점은 1937년 7월에 마침내 중단되었다. 중화문화의 가장 위대한 왕조를 대표하는 이 건물은 중화민족의 가장 위험한 순간에 그들에 의해 재발견되었다.

copyright 2024회사기업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