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회사기업대전 - 기업 정보 조회 - 새 기준에 따른 자율정보 공개에 관한 내용

새 기준에 따른 자율정보 공개에 관한 내용

상장회사가 공개하는 정보는 내용에 따라 의무공개와 자율공개로 구분된다. 규제의 한계로 인해 정보 공개를 의무화하는 형식과 내용은 투자자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합니다. 투자자는 기업의 적극적인 정보 제공을 원합니다. 이로써 자발적인 정보 공개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상장기업의 수익성과 자발적 정보공개 질의 관계를 관점으로 삼고, 상하이 및 심천 A주 상장기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자발적 정보공개 질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균형성과표 모듈 접근법.

1. 이론적 근거 및 문헌 검토

계약 이론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의 관리자가 외부 세계에 정보를 공개하려는 동기가 더 강하여 자신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고 믿습니다. 평판 및 보상 제도(Wallace et al., 1994; Inchausi, 1997). 신호 이론도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는데, 더 나은 성과를 낸 기업은 시장이 수익성 수준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자발적으로 더 많은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더 많은 자본을 유치하거나 시장에서 주식 가치가 과소평가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Grossman anHart, 1980; 밀그롬, 1981). 위의 이론적 기대와 일관되게 Lang과 Lundlholm(1993)은 1985년부터 1989년까지 기업의 정보공개 점수를 바탕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정보 공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했다. 실증 결과에 따르면 성과가 좋은 기업은 공개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orker(1992)는 실증적 연구를 위해 토론토 증권 거래소에 상장된 80개의 최대 공개 회사를 선택하고 성과 요인이 상장 회사의 더 많은 정보의 자발적인 공개를 촉진할 것이라고 결론지었습니다. Miller(xxxx)는 또한 회사의 수익성이 증가함에 따라 회사의 정보 공개 수준도 그에 따라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국내 학자 Qiao Xudong(xxxx), Zhuge Dong, Feng Sixian(xxxx)은 실증 연구를 수행한 결과 중국 상장 기업의 자발적 공개 정도가 회사의 수익 성과와 긍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Cui Xuegang, Zhu Wenming(xxxx) 및 Qiao Xudong(xxxx)은 회귀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한 결과 회사의 자발적인 정보 공개 수준이 회사의 수익성 수준과 음의 관계가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국내외 학자들의 연구 결과에는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영향력 있는 국내 연구 결과는 많지 않다.

II. 연구 프레임워크 및 실증적 구성

(1) 연구 가설: 수익성이 높은 상장 기업은 자발적으로 더 많은 정보를 공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장기업의 수익성이 자발적 정보공개의 질과 정(+)의 관계가 있다고 가정한다.

(2) 표본 선택

이 연구에서는 xxxx년 전에 상장되었으며 완전한 재무 데이터를 표본으로 갖고 있는 상하이 및 선전 A주 상장 기업 200개를 무작위로 선택했습니다. 샘플에서는 먼저 비교 불가능한 ST 상장사와 금융상장사, 그리고 2009년에 사명을 변경하거나 신규 상장한 기업을 제외했습니다. 연구기간은 xxxx년이다. 샘플 회사의 재무 데이터는 Juling Information Network 및 중국 증권 규제 위원회 웹사이트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선택한 분석 소프트웨어는 SPSS11.5였습니다. 본 연구를 위해 선택된 샘플의 산업 분포는 표 1에 나와 있습니다.

표 1 산업 표본 분포

산업 표본 비율

농업, 임업, 축산, 부업 생산 및 어업 6 3

채취업 5 2.5

제조업 119 59.5

전기, 가스, 물 생산 및 공급 15 7.5

건설업 5 2.5

운송 및 창고업 9 4.5

정보기술 산업 13 6.5

도매 및 소매업 12 6

종합 카테고리 9 4.5

사회서비스업 7 3.5

합계 200 100

(3) 변수의 선정 및 결정

1. 종속변수 공개항목 선정 및 평가체계 및 결정

상장회사의 자발적 정보공개 내용은 회사가 공개하는 중간보고서, 연차보고서, 중간보고서, 정기보고서, 중간보고서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방법은 관련 과거 조사를 우선적으로 채택하는 것이다. 공개 항목에서 권장되는 공개 항목은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의 "증권을 대중에게 제공하는 회사의 정보 공개에 대한 내용 및 형식 지침 제2호: 연차 보고서의 내용 및 형식"( xxxx) 정보 공개 의무 항목을 비교 삭제한 후 자율 정보 공개 항목을 획득합니다. 본 논문이 실증분석을 위해 균형성과표 스타일 모듈 아이디어를 채택할 때, 정보 공개 지수를 계산하기 위해 정보 공개 일정을 구성하는 Meek et al.의 접근 방식을 채택합니다. 이처럼 상장기업의 자율적 정보공개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체계는 전략적 정보공개(28), 비재무정보 공개(37), 재무정보 공개(48)의 3가지 모듈로 구분할 수 있다.

자율적 정보공개는 정성적인 항목이기 때문에 직접 수치로 표시해 측정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상장기업의 자발적 정보공개 수준을 측정할 때, 각 상장기업이 실제로 공개한 항목의 총합을 기준으로 표본기업별로 점수를 매긴다. 채점 시에는 "0-1 지표 채점 방식"을 사용합니다. 즉, 자발적 공개 항목인 경우 1점, 그렇지 않은 경우 0점으로 처리합니다. 주목할 점은 공개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항목은 공개되지 않거나 해당되지 않는 항목(N/A)으로 계산된다는 점이다. 정보 항목에 할당된 점수는 일반적으로 정보 공개 지수로 집계됩니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중요도가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정보 항목을 직접 요약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 방법은 정보 항목의 중요도를 반영하여 각 정보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요약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이다. 두 가지 방법은 동일한 원리를 가지며 서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모든 정보가 정보 사용자에게 동일한 중요성을 갖는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첫 번째 방법을 채택했습니다. 즉, 각 정보의 가중치는 1로 간주됩니다. 공개되는 정보는 정성적 정보와 정량적 정보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동일한 지표의 정량적 정보와 정성적 정보가 동시에 공개되면 정성적, 정량적 정보만 공개하는 지표보다 높은 가산점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자율정보공개지수는 VDEi(i=1, 2, 3)는 각각 전략정보공개지수 VDE1(28), 비재무정보공개지수 VDE2(37), 금융정보공개지수 VED3(48)을 나타낸다. 값. 이러한 방식으로 상장기업의 자율공시지수는 VDE=VD/MVD로 정의됩니다. 이 중 VD는 연차보고서에 공개되는 봉사사업 점수의 합이고, MVD는 연차보고서에 최대한 공개해야 하는 봉사사업 점수의 합이다.

2. 독립변수의 정의

문헌(L.L.Eng, Mak, xxxx; Chen, Jaggi, xxxx)에서 회사의 연간 수익성을 측정하기 위한 변수로 자기자본이익률(ROE)을 사용할 때 더 나은 설명력. 따라서 기업의 수익성을 측정하는 가장 포괄적이고 대표적인 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을 선택하여 기업의 수익성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OE = 순이익/총자본.

(4) 실증분석 방법

먼저 '0-1 지표 채점법'을 이용하여 각 기업의 공시지수 VDE를 계산한 후 선형회귀식을 수립하고, 여기에는 자발적 공개 정도 지수(VDE), 자기자본 수익률(ROE), 회귀 분석 및 무작위 항이 포함됩니다. 실증분석에서는 기술통계를 먼저 수행한 후 회귀분석을 위해 최소자승법을 사용하였고 검증을 위해 T-test와 F-test를 사용하였다.

3. 실증분석 및 결과 논의

(1) 기술통계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발적 정보공개 항목을 전략적 정보로 요약하고, 3개 모듈로 구성한다. 비재무정보와 금융정보의 공시항목은 각각 28개, 37개, 48개입니다. 자율정보공개 각 모듈의 기술통계 결과는 분석소프트웨어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able 2와 같다. 기술통계 분석 결과: 전체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전략정보 자발적 공개 수준은 3개 항목 중 가장 높은 55%를 기록했고, 비재무 정보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공개율은 49%이며, 전략정보의 자발적 공개율은 재무정보로 33%로 가장 낮습니다. 전반적인 자율공시 상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공시비율은 13.19%로 최대값은 39이다. 이는 우리 상장사의 자발적 공시 수준이 아직 매우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기자본이익률 ROE의 평균값은 7.0220이고, 최소값은 -43.43, 최대값은 30.90이다.

표 2 자발적 정보공개 모듈별 기술통계

N 최소 최대 평균 편차

VDE 200 0.03 0.39 0.1319 0.05909

VDE1 200 0.00 0.55 0.2094 0.12026

VDE2 200 0.01 0.49 0.1114 0.06444

VDE3 200 0.00 0.33 0.1008 0.05474

ROE ​​20 0 - 43.43 30.90 7.0220 0 4012

(2) 회귀통계분석

회귀통계분석 모형에 따르면, 상장기업의 자율공시 정도와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보통최소자승법을 사용하였다. 회귀분석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장기업의 자율공시 품질은 일반적으로 0.001 수준에서 유의미하며, 상관계수 r=0.932로 상장기업의 자율공시 품질 간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기업의 수익성 결정계수 r2 = 0.8686은 자발적 공개 품질의 약 86.86이 수익성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F=27.360으로 검증값은 0.001 수준에서 유의미하여 상장기업의 자율공시 품질과 기업의 수익성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뒷받침합니다. t=16.541 검정 결과 유의미하여 회귀식이 타당하고 변수 간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의 수익성이 높을수록 자발적으로 공개하는 정보가 많아진다. 회귀 결과는 가설과 일치합니다.

자율정보공개제도의 3대 구성요소와 기업의 수익성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전략적 정보공개 회귀식은 0.001 수준으로, F=36.810 테스트값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0.01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수준으로 상장기업의 자발적인 전략정보 공개의 질과 기업의 수익성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뒷받침한다. 비재무정보 상관계수는 0.001 수준(F=37.976)으로 유의미하여 상장기업이 공개하는 자발적 비재무정보의 질과 기업의 수익성 간에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금융정보의 경우 F=35.581 테스트값은 0.001 수준에서는, 심지어 0.01 수준에서도 유의미하지 않아 상장기업의 자발적 금융정보 공개의 질과 기업의 수익성 사이에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없음을 나타냅니다.

표 3 회귀 결과

ITEMS VDE VDE1 VDE2 VDE3

인터셉트 ROE 인터셉트 ROE 인터셉트 ROE 인터셉트 ROE

Exp.Sign

Exp.Sign

p>

p>

값 3.45 0.848 3.055 0.506 3.052 0.234 3.212 0.242

t 7.314 16.541 5.046 6.967 5.682 6.162 6.308 15.34

0.00 0 0.000 0.000 0.051 0.000 0.000 0.000 0.821

F 27.360 36.810 37.976 35.581

p 0.000 0.063 0.000 0.352

r 0.932 0.910 0.891 0.778

IV. 심층연구

게임 관점에서 투자자와 상장기업 간의 자발적인 정보공개 게임은 불완전한 정보동적 게임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즉, 두 게임 당사자를 구성하는 유사한 선호도와 행위를 가진 상장회사와 투자자가 있다고 가정한다. a'와 b'는 상장 기업과 투자자의 기대 효용이나 소득을 최적화하는 최적의 반응입니다. 상장기업과 투자자의 순수전략은 각각 a와 b이다. 상장회사와 투자자 간의 게임분석은 다음과 같다.

a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크다. a. 상장회사의 청렴성과 도덕적 해이가 상대적으로 크다. 상장기업은 상대적으로 정직하고 신뢰도가 높으며, 주가가 저평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높은 수준의 공개를 보여줄 가능성은 매우 적습니다. 현재 공시 수준이 높기 때문에 상장기업들은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것을 알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공시 수준이 높을 때 높은 수요 전략을 채택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이는 양측 모두에게 이익이 됩니다.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미성숙하고 투기적 성향이 강합니다. 투자자는 상대적으로 성숙하고, 상장회사는 공개 수준이 높아 투자자를 속일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상장회사가 합리성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실적이 좋을수록 자발적으로 정보를 공개하려는 경향이 커진다. 실제로 상장기업의 자신감은 소득에 따라 결정된다는 위의 가정이 전제된다. 와 투자자의 자신감, 그리고 투자자의 자신감은 상장기업의 이익에 따라 그들의 복지가 상호의존적입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투자자들은 기업의 운영 조건에 관심이 없으며 투기가 매우 명백합니다”(Wu Shinong, Huang Zhigong, 1997). 이러한 투자자의 미성숙 현상은 상장 기업이 더 나은 정보 공개를 수행하려는 의욕을 약화시켰습니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과 품질. 자발적으로 공개되는 정보의 경우 투자자는 수집, 이해 및 대응할 수 있는 특정 능력이 있는 경우에만 신호 역할을 수행하지만, 시장이 잘못된 정보로 가득 차 있으면 효율성이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자발적인 정보공개 신호가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위한 기반은 투자자의 합리성과 상장기업의 청렴성이다. 즉, 성과가 좋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더 많은 정보를 공개하면 시장은 정보에 반응하게 된다. 따라서 상장기업의 전반적인 자율공시와 모듈 품질에 대한 수익성의 영향은 그다지 안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무정보 모듈은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고, 전략정보 부분도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참고자료]:

1. Qiao Xudong, "상장회사 연차보고서의 자발적 공시행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현대경제학", 2019년 2호.

2. Zhuge Dong, Feng Sixian, "기업 성과 및 자발적 정보 공개에 관한 실증 연구", "기술과 경제", 7호, XXXX.

3. Cui Xuegang, Zhu Wenming, "상장회사의 정보 공개 수준, 회사 특성 및 정보 감독", "실증회계에 관한 제2회 국제 심포지엄 회의록" [A], xxxx.

4. 비즈니스 보고 개선: 자발적 공개 강화에 대한 통찰[R]운영 위원회 보고서 비즈니스 보고 연구 프로젝트, xxxx.

5. Gray, S. J. 미국, 영국 및 유럽 대륙 다국적 기업의 자발적인 연례 보고서 공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1995, 555-572.

6. Singhvi, S 및 Desai, H. B. 경험적 기업 재무 공개 품질 분석, 1971, 129-138.

7. Forker, J. J.(1992). >연구, 22(86), 111–124.

copyright 2024회사기업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