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동적인 휴식:' 활동 변경' 을 뜻하며 피로를 해소한다. 예를 들어, 오랜 시간 생각한 후에는 체력 활동으로 바꿔야 하고, 상체 활동 후 일관된 하체 활동으로 바꿔야 한다. 후자 활동으로 인한 흥분은 전자활동으로 인한 흥분을 억제하고 전자의 흥분된 세포를 쉬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적절한 체육 활동은 피로를 푸는 효과적인 방법이므로 자주 참가해야 한다. 최적의 운동량을 선택하는 방법에는 지수평가법, 심박수평가법, 쿠퍼평가법, 고정평가법, 피로평가법, 단순평가법, 단계평가법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사람마다 실제 상황이 크게 다르고 조용한 심박수의 차이가 15-30% 이상이기 때문에 최적의 운동량을 선택하는 것은 자신의 나이, 성별, 직업특성, 신체상태, 건강수준, 운동기초, 생활환경, 목표과제에 따라 결정된다. 최적의 운동량을 선택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국제적으로 몇 가지 전형적인 방법 (계산 공식) 을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a) 지수 평가 방법 지수 평가 방법; 생리부하 지수를 비교하고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2-5 분마다 운동 심박수를 측정하고 운동이 끝날 때까지 매번 측정한 심박수 (1 분 기준) 를 기록하는 것이다. 먼저 운동할 때의 평균 심박수를 얻은 다음 조용한 심박수를 평균 심박수로 나누어 얻은 값을 생리지표와 비교해서 운동량을 평가한다. (2) 심박수지수법 심박수지수법은 운동 시 분당 심박수가 달성해야 하는 횟수를 말한다. 미국 생리학자들은 운동 중 심박수를 이용해 최적의 운동량을 선택하고 평가하는 것이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계산 공식: (3) 쿠퍼의 평가 방법 쿠퍼는 미국의 유명한 생리학 분야이다. 그가 연구한 최고의 운동 심박수 공식은 대표적이어서 세계 각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4) 간이평가법 단순평가법은 서로 다른 상수에서 연령의 차이를 뺀 것, 즉 최적의 운동 심박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