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집을 임대하는 집주인이나 중개기관에 결함이나 위험이 있어 임차인이 임대 기간 동안 피해를 입었다.
2. 세입자가 주거과정에서 자발적으로 주택 품질 문제를 감추거나 제때 보고하지 않아 스스로 손상을 입었지만 문제는 실제로 존재한다.
배상 책임을 확정하기 전에 임대 계약에 주택 품질 약정이 있는지, 세입자에 대한 적절한 안전 힌트 및 안내 조치를 취했는지도 고려해야 한다. 실천에는 책임인정, 배상금액 등의 문제가 포함되며 구체적인 사실조사와 법률분석이 필요하다. 세입자는 집주인이 임대할 때도 주택 품질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하여 유사한 사고를 피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