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 * * 소유권' 에는 두 가지 모델이 있다. 하나는 정부재산권이 30%, 다른 하나는 정부재산권이 70% 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이 두 모델에서, 나는 정부가 실제로 내놓은' 진금은은' 비율이 얼마인지 모르겠다. 진정한 토지 양도금이 투입되고 경제 적용 주택 정책이' 주식' 으로 전환된다면 경제 적용 주택 정책의 초심을 위반한 것 같다. 토지 할당 등 특혜 정책은 경제적용 주택 구매자가 즐겼어야 했기 때문이다.
3. 경제적용 주택의 구매 대상은 수입이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사람이어야 하는데 정부는 분명히 그 안에 있지 않다. 회안의' * * * 재산권' 모델에 따르면 이는 정부가 주민들의 복지를' 압착' 한다는 사실을 객관적으로 초래했다. 정부가 토지양도금 등 특혜정책을' 주식' 으로 전환한 뒤 저소득 가정이 누려야 할 정책이 줄고 저소득 가정은 주택보장을 받지 않는다. 유일한 장점은 정부가 집을 살 때 일부 돈을 지불했고, 지불한 가격은 현지 정부가 인정한' 작은 재산권실' 이라는 점이다.
4. 가격 형성 메커니즘과 출자방식으로 볼 때' * * * 재산권실' 은 시장가격을 확인하고 유지한다. 따라서 집값이 급성장하는 어느 시기에' * * * 재산권실' 은 반드시 집값을 상승시킬 것이다. 장기적으로' * * * 재산권실' 은' * * * 재산권실' 을 구매하는 저소득층보다 지방정부와 부동산 개발업자에게 더 유리하고, 상품주택을 구매하는 대중집단보다 훨씬 낫다.
따라서' * * * 재산권실' 의 부정적 효과를 경계하고 일부 지방정부가' 아침에 잔도를 짓고 밤에 낡은 창고를 지나는 것' 을 막기 위해' 보장주택 제도 혁신' 이라는 구실로 높은 집값을 올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