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주인과 함께 대행사를 고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집주인과 협상하여 임대 계약을 다시 체결한 다음 주택 중개업자를 찾아 손실을 보상할 수도 있습니다. 중개 회사는 집주인에게 임대료를 지불해야 하며 계약 위반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합니다. 집주인은 집세를 6개월 이상 연체할 경우 집을 돌려받을 권리가 있으며, 모든 손실은 임차인, 즉 중개회사가 부담하게 됩니다. 임차인은 관련 증거를 수집 및 보존해야 하며, 중개인을 상대로 법원에 임대료 반환과 그에 따른 손실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임차인이 일정 금액의 임대료를 지불했지만 안심하고 집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중개자는 계약 위반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합니다. 임대 손실은 중개업자로부터 보상받아야 합니다. 이론적으로 임차인은 해당 주택을 계속 점유하고 사용할 권리가 있지만, 집주인의 지속적인 괴롭힘이나 단수, 정전으로 인해 임차인의 정상적인 사용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 임차인은 중개인에게 계약 위반에 대한 책임을 물을 권리가 있습니다. 임차인은 임대인과 임대차 계약을 체결할 때 필요한 서면 계약 외에 상대방의 신원 정보와 주택의 재산권이 명확한지 여부도 확인해야 합니다. 계약서에 재산 상황을 명시하고 계약 조건 및 계약 위반 사항에 대해 명확하게 동의합니다. 법적 근거: 중화인민공화국과 민법 제583조: 일방이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계약상 의무의 이행이 계약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의무를 이행하거나 구제 조치를 취한 후, 상대방이 다른 손실을 입었을 경우 손실을 보상해야 합니다. 제577조 당사자 일방이 계약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약정에 어긋나게 계약의무를 이행한 경우 계속 이행, 구제조치, 손실배상 등 위약책임을 져야 한다. 제584조 일방이 계약상 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계약상의 의무를 약정과 다르게 이행하여 상대방에게 손실을 초래한 경우, 배상액은 계약 위반으로 인해 발생한 손실과 동일해야 하며, 이때 얻을 수 있는 이익도 포함됩니다. 그러나 이는 계약 위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이 위반 당사자가 계약 체결 당시 예상했거나 예상했어야 했던 손실을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