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식
빙하는 강한 침식력을 갖고 있으며 대부분 기계적 침식 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 침식: 기반암이 침식될 때. 빙상 바닥이나 권곡의 뒷부분은 관절을 따라 얼고 녹기를 반복하면서 느슨해지며, 이 느슨한 암석들이 빙하와 함께 얼게 되면 빙하가 움직일 때 암석 블록이 뿌리째 뽑혀서 떨어져 나가게 됩니다. , 이를 뽑기 효과(plucking effect)라고 합니다. 침식 후 빙하 계곡의 경사 곡선은 울퉁불퉁하여 사다리꼴 경사면을 형성합니다.
(2) 마모(Abrasion): 빙하가 이동할 때 빙하 바닥이나 얼음층에 얼어붙은 암석 조각이 위쪽 빙하의 압력에 의해 부서지고 부식되는 현상을 마모 효과라고 합니다. 마모는 기반암에 긁힌 자국과 함께 광택나는 표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긁힌 자국이나 홈은 빙하의 좋은 증거이며, 그 방향은 빙하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3) 아이스 쐐기 효과: 암석 틈에 녹아 있는 얼음물이 얼고 녹는 것을 반복하면서 부피가 팽창하고 수축하여 암석이 파편으로 부서지거나 양쪽에서 암석이 형성되는 현상 경사면은 빙하 속으로 앞으로 떨어졌습니다.
(4) 기타: 녹은 얼음물이 강으로 유입되면 많은 양의 얼음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아 하류 둑 양쪽의 암석을 손상시키는 강한 충격력이 발생합니다.
빙하 침식의 강도는 다음 요소의 영향을 받습니다.
(1) 얼음층의 두께와 무게. 두꺼운 것은 더 부식성이 있습니다.
(2) 얼음이 움직이는 속도. 속도가 더 빠른 것이 더 부식성이 있습니다.
(3) 운반된 돌의 수. 물건을 많이, 무거워질수록 부식력은 강해집니다.
(4) 지상 암석의 거칠기 또는 매끄러움. 거친 땅은 빙하에 의한 침식에 더 취약합니다.
(5) 바닥 암석의 특성상 바닥이 부드러운 암석은 침식에 더 취약합니다.
(6) 암석의 경사 방향과 빙하의 이동 방향이 일치하면 쉽게 침식됩니다.
침식으로 인한 얼음 침식 지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권곡: 계곡 빙하의 중요한 얼음 침식 지형 중 하나입니다. 설선 근처에 형성됩니다. 또는 저지대에 눈이 가장 많이 쌓이는 현상은 눈이 얼고 녹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중력과 눈이 녹은 물의 작용으로 암석이 붕괴되어 반그릇 형태로 변하는 현상입니다. 모양 또는 말굽 모양의 함몰, 전형적인 권곡이 형성되었습니다. 권곡의 삼면에는 가파른 암벽이 있고, 아래쪽 경사면에는 빙하가 물러가면 움푹 들어간 곳의 물이 호수를 형성하는데, 이것이 권곡입니다.
(2) 가장자리 능선, 뿔봉우리, 얼음 능선: 권곡이 침식과 서리 균열로 인해 계속 확장되면 권곡 벽이 후퇴하고 인접한 권곡 사이의 능선이 점차 좁아지게 됩니다. 얇아져 칼날 모양을 형성하는데, 이를 칼날 척추라고 합니다. 여러 개의 권곡이 만나는 봉우리는 날카로운 모양을 갖고 있으며 이를 뿔봉우리라고 합니다. 블레이드 능선 사이의 낮은 안장은 얼음처럼 멍청합니다.
(3) 분출구, U자형 계곡, 돌 함몰: 계곡 빙하가 고지대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할 때 분출구가 삼각형 모양으로 납작해지는 것을 분출산이라고 합니다. 주둥이. 그리고 빙하계곡의 단면 모양이 U자형과 같다고 하여 U자형 계곡이라 불린다. U자형 계곡 양쪽에는 뚜렷한 계곡 어깨가 있는데, 계곡 어깨 아래의 계곡 벽은 비교적 직선이고, 빙하 계곡 바닥에 있으면 웅덩이와 바위가 평평하다. 빙하의 침식으로 인해 아래쪽으로 오목해졌습니다.
(4) 피요르드: 고위도 지역에서는 빙하가 바다까지 확장되어 해안의 깊은 U자형 계곡으로 침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래 얼음 계곡은 피요르드가 되었습니다.
(5) 행잉 밸리(Hanging Valley): 빙하 침식의 차이로 인해 행잉 밸리가 형성됩니다. 가 얇고 침식력이 약하여 U자형 계곡이 얕다. 왜냐하면 가지 빙하와 주빙하의 교차점에서는 빙하 바닥의 높이에 큰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행잉 밸리(Hanging Valley)라고 불린다.
(6) 양등석(Sheep's Back Stone) : 빙하층의 침식된 지형으로, 기반암으로 이루어진 구릉으로, 멀리서 보면 엎드린 무리처럼 보이기도 한다. 양, 그래서 양이라고 불린다.
평면은 타원형이고 장축은 빙하의 흐름 방향과 일치하며, 반대쪽은 빙하의 마모로 인해 경사가 더 평평하고 완만합니다. 빙하의 침식으로 인해 경사가 울퉁불퉁하고 가파르다. 양등석은 연암층과 경질암층이 교대로 배열되어 형성되는데, 침식과 풍화작용이 일어나면 연암층은 점점 더 깊게 침식되고, 단단한 암석층은 침식과 풍화에 대한 저항력이 더 강해집니다. 침식과 풍화 후에 단단한 암석 지층은 부드러운 암석 지층보다 높아져 한쪽은 마모되고 다른 쪽은 침식되는 융기된 타원형 지형을 형성합니다.
(7) 빙하 광택 표면 및 빙하 스크래치 : 양의 등암이나 U 자형 계곡 벽 및 큰 바위에는 빙하가 이동할 때 빙하의 작용으로 인해 광택 표면이 종종 형성됩니다. 모래와 미사, 연마된 표면은 밀도가 높은 암석에서 더 발달하며, 빙하에 의해 운반된 물질이 자갈인 경우 빙하 스크래치라고 불리는 줄무늬나 홈으로 새겨집니다. 다른 쪽 끝은 가늘고 두꺼운 쪽은 상류를 향합니다.
교통
빙하의 관입으로 인해 다량의 느슨한 암석 파편과 산 경사면의 파편이 빙하계로 유입되어 빙하와 함께 이동하게 됩니다. 잔해는 빙퇴석이라고 하며 빙하의 다양한 위치에 따라 다양한 운송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표면 빙퇴석: 빙하 표면에 노출된 빙퇴석.
(2) 내부 빙퇴석: 빙하 안에 끼어 있는 빙하 빙퇴석
(3) 바닥 빙퇴석: 빙하 계곡 바닥에 쌓인 빙하 빙퇴석.
(4) 측면 빙퇴석: 빙하 양쪽에 쌓인 빙퇴석.
(5) 중간 빙퇴석: 두 개의 빙하가 합쳐진 후 인접한 측면 빙퇴석이 하나로 합쳐집니다. 중간 빙퇴석은 합쳐진 빙하의 중앙에 위치합니다.
(6) 말단 빙퇴석(꼬리 빙퇴석): 빙하가 전진하면서 끝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빙하 빙퇴석을 말단 빙퇴석이라고 합니다.
(7) 후퇴하는 빙퇴석: 빙하가 물러가면서 일시적으로 국지적으로 머물게 되며, 각 체류는 후퇴하는 빙퇴석을 생성합니다.
(8) 바위: 빙하의 운반 효과는 빙하를 먼 거리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대한 암석을 매우 높은 곳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거대한 암석이 운반되는 덩어리를 바위라고 하며, 그 암석학은 근처의 암반과는 전혀 다릅니다. 빙하의 수송 능력은 매우 강하지만 상대적으로 빙하의 패닝 능력은 매우 열악합니다.
축적
빙하에 의해 운반된 모래와 자갈은 종종 길을 따라 버려집니다. 따라서 빙하가 녹은 후에는 다양한 형태로 운반된 물질이 축적되어 다양한 형태의 빙퇴석을 형성합니다. 소위 빙퇴석은 빙하에 의해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층이 없는 얼음 퇴적물을 말합니다. 빙상이란 빙하가 직접 퇴적한 물질이나 얼음물의 작용으로 퇴적된 물질, 빙하로 인해 강, 호수, 바다에 퇴적된 물질을 말한다. 얼음 퇴적물은 비층상 얼음 퇴적물과 층상 얼음 퇴적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비층상 얼음 퇴적물: 이러한 유형의 얼음 퇴적물은 빙하가 퇴적할 때 형성됩니다. 남은 자갈로 인해 발생합니다. 얼음이 녹아 땅에 남겨진 퇴적물은 크기가 다양하며, 돌의 모서리와 모서리가 적고, 표면이 광택이 나거나 긁힌 자국이 있으며, 쌓인 후 층이 생기지 않는 형태의 잡얼 퇴적물을 흔히 부른다. 빙퇴석에 의해 형성된 빙퇴석 지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빙퇴석 언덕(기본 빙퇴석 언덕): 빙하가 녹은 후 원래의 표면 빙퇴석과 내부 빙퇴석은 빙하 계곡 바닥으로 가라앉고 함께 가라앉습니다. 바닥 빙퇴석과 함께, 이 빙퇴석은 빙하 계곡 바닥의 지형에 영향을 받아 빙퇴석 언덕이라고 불리는 경사진 기복이 있는 언덕으로 쌓입니다. 대륙 빙하의 빙퇴석은 규모가 더 큰 반면, 계곡 빙하에 의해 형성된 빙퇴석은 훨씬 작습니다.
측면 빙퇴석(Lateral Moraine Dike) : 빙하가 후퇴할 때 측면 빙퇴석과 표층 빙퇴석이 동시에 쌓여 형성된 것으로, 빙하 계곡의 양쪽에 위치하며 상류로 뻗어 있다. 빙하의 하류 쪽은 빙퇴석 제방에 연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말단 빙퇴석: 말단 빙퇴석은 빙하가 후퇴할 때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단계를 반영합니다. 빙하의 공급과 삭마가 균형을 이루면 빙하의 끝이 한동안 일정한 위치에 머물 수 있습니다. 이때 빙하에 의해 운반된 물질은 빙하 끝 부분에 있는 호 모양의 제방에 쌓이게 되는데, 이를 말단 빙퇴석 제방이라고 합니다.
대륙 빙하의 말단 빙퇴석 제방은 높이가 최대 수백 킬로미터에 이르고 더 작은 원호 곡률을 갖습니다. 반대로 계곡 빙하의 말단 빙퇴석 제방은 높이가 최대 수백 미터에 달하며 길이도 더 작습니다. 더 큰 호 곡률.
드럼언덕: 드럼언덕은 얼음 퇴적물로 이루어진 일종의 언덕으로, 모양이 대략 타원형이고, 그 장축이 물의 흐름 방향과 일치한다. 얼음을 향한 쪽이 급경사이다. , 얼음을 지지하는 쪽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종단면은 비대칭이고 볼록하다. 일반적으로 드럼 마운드는 빙하의 운반 능력이 약화되어 바닥 빙퇴석이 쌓여 형성된다고 믿어집니다. 주로 대륙 빙하의 말단 빙퇴석 내에서 수 킬로미터에서 수십 킬로미터 내에 분포하며, 종종 집단으로 나타나며 계곡 빙하의 북 둔덕 지대를 형성합니다.
(2) 층상 얼음 퇴적물: 빙하의 퇴적과 얼음물이 동시에 녹은 결과입니다. 빙하에 의해 운반된 물질은 녹은 얼음물에 의해 세척되고 세척되며, 이는 크기에 따라 발생합니다. 빙하의 가장자리에 얼음과 물 퇴적물로 구성된 다양한 지형을 얼음과 물 축적 지형이라고 합니다.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얼음물 퇴적층, 얼음물 팬, 외류 평원: 빙하 끝 부분의 녹은 물에 의해 운반된 자갈이 대량으로 빙하 앞의 계곡이나 평원에 쌓입니다. 얼음물 퇴적물을 형성하는 빙하, 대륙 빙하의 끝 부분에 이러한 퇴적물이 수 킬로미터에 걸쳐 뻗어 있고 빙퇴석 제방 외부의 부채꼴 모양의 지역에 쌓일 수 있으며 이를 얼음물 팬이라고 합니다. 충적평원이라고도 알려진 광대한 얼음 지역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지형에서는 퇴적물이 하류로 완만하게 기울어지고 입자 크기는 하류로 작아집니다.
빙하 호수와 계절별 진흙: 빙하 호수는 얼음물이 녹아 형성됩니다. 빙하가 후퇴하면 앞쪽에 쌓인 얼음 퇴적물이 빙하의 통로를 막고 종종 물을 모아 호수를 형성합니다. 얼음 호수는 계절에 따라 변화가 뚜렷합니다. 여름에는 얼음이 녹은 물이 많아지고 많은 양의 물질이 호수로 유입됩니다. 일부 거친 입자는 빠르게 퇴적되지만 미세한 입자는 여전히 물에 부유하고 색상이 더 밝습니다. 겨울에는 얼음이 녹은 물이 줄어들면서 오랫동안 떠 있던 세립질의 점토가 침전되기 시작하고 색이 더 어두워집니다. 그 결과, 쉽게 식별할 수 있는 두껍고 얇은 두 개의 퇴적물 층이 호수에 형성되는데, 이를 계절 진흙이라고 합니다.
볼더 포트(Boulder Port): 볼더 포트는 층상으로 분류된 미세한 미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둥글거나 불규칙한 작은 언덕 모양입니다. 일반적으로 볼더 포트의 상부에는 빙퇴석 층이 있으며, 볼더 포트는 빙하가 녹은 후 얼음 표면의 작은 호수나 강 또는 정체된 빙하의 동굴에 쌓인 퇴적물에 의해 형성됩니다. 바닥에 쌓이고 쌓인다. 얼음구멍의 모양이 매우 불규칙하고 층층이 있다는 점이 다르다. 볼더 항구는 대륙 빙하와 계곡 빙하 모두에서 개발되었습니다.
볼더 테라스: 빙하 양쪽에는 암벽과 측면 빙퇴석이 더 많은 열을 흡수하고, 빙하 양쪽의 얼음 표면이 중앙보다 낮기 때문에 녹은 얼음물이 모이게 됩니다. 여기에서 얼음 쪽 강을 형성하고 얼음물 재료를 가져옵니다. 얼음물이 소멸 된 후 이러한 재료가 빙하 계곡 양쪽에 축적되어 계곡 빙하에만 발달하는 바위 테라스를 형성합니다.
냄비 동굴(얼음 동굴): 냄비 동굴이라고 불리는 얼음 평야에는 원형의 함몰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빙하가 고갈되면 남은 얼음의 일부가 고립되어 얼음물 퇴적물에 묻히기 때문에 형성됩니다. 얼음이 녹으면 붕괴가 발생하여 포트홀이 발생합니다.
구불구불한 마운드: 구불구불한 모양의 길고 좁으며 구불구불한 지형으로, 두 개의 가파른 벽과 좁은 마운드 꼭대기가 확장 방향이 빙하의 흐름 방향과 거의 일치합니다. . 주로 대륙 빙하 지역에 분포한다. 구불구불한 언덕이 생기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빙하가 녹으면 녹은 물이 빙하 틈을 따라 빙하 속으로 스며들어 빙하 바닥으로 흘러 얼음 뒤에 빙하 터널이 형성됩니다. 터널이 완전히 녹으면 자갈이 퇴적되어 구불구불한 언덕을 형성합니다.
2. 여름에는 얼음의 녹은 물이 증가하고 얼음 퇴적물은 빙하 끝 부분에 얼음물 삼각주를 형성합니다. 다음해 여름에는 빙하가 다시 물러나서 빙하가 형성됩니다. 얼음물 삼각주가 차례로 연결되면 구슬 모양의 구불구불한 언덕을 형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