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공학 분야, 도시 및 항만의 계획 및 설계는 특히 단층이 발달하고 지진 활동이 강한 지역에서 지역적 지각 안정성 평가 및 연구를 수행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공학 계획, 설계 오류가 발생하여 프로젝트에 심각한 손실을 초래합니다. 여기에서는 지구물리학적 탐사와 지질학을 결합하여 도시 지역의 지진 지질 배경 분석과 지진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사례를 통해 소개합니다.
그림 2-1-3 요녕성 남부지방의 구조체계와 지진예측 분석 지도
(Yang Wenyuan, 1985에 따르면)
대련 경제기술 개발구는 지난마교자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저우진에서 남동쪽으로 10km 떨어져 있습니다. 이 지역은 구조가 복잡하고 단층 활동이 강하며 지진이 자주 발생합니다. 중국 동부의 유명한 탄루 지진대가 서쪽 가장자리를 통과합니다. 개발구 부근의 금주 단층은 활동성이 매우 높은 단층으로, 남단 금주 지역은 역사상 세 차례 파괴적인 지진을 겪었다. 한마디로 이 지역은 지진 위험지역이다. 본 경제개발구역을 계획하고 내진설계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이 지역에 대한 지질 및 지구물리학적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3].
1. 지각 활동과 지각 변형
이 지역은 위도 인샨 구조 벨트와 네오캐세이 시스템의 두 번째 거대 융기 벨트가 결합된 지역에 위치합니다. 이는 명백한 다단계, 복합 및 상속 특성을 지닌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구조적 흔적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 지역에는 위도 구조 시스템, 케세이 제도 구조 시스템, 신격변 구조 시스템 및 북서 추세 구조가 있습니다(그림 2-1-3). 단층이 서로 교차하여 토지가 심각하게 손상되었습니다. 최근에는 각 시스템이 다양한 정도로 활성화되었으며 특히 일부 대규모 단층 지역에서 활동의 성격, 순서 및 강도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진저우 단층(Jinzhou Fault) 이 단층은 탄루 단층대의 한 갈래인 깊고 큰 활성 단층으로, 장기적이고 계승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파괴경향은 N 20°E이다. 현재까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기반은 다음과 같다. ① 스허향 고자팡 남쪽 도랑에 파쇄 폭이 30m로 그 위에 있는 홍적세 후기 황토 같은 점토가 있다. 단층 접촉(그림 2-1-4); ② 지형학적으로 금주 단층은 제4기부터 요동산맥과 요하충적평원을 나누는 경계선 역할을 한다. 1972년부터 동쪽 부분이 150m나 솟아올랐다. 지형 높이 차이는 7.2mm에 달한다. ③ 지열의 분포는 단층에 의해 조절되며, 그 양쪽에는 온천이 분포되어 있다. 복현용문온천, 황소온천, 슝웨온천, 당강자온천 등 북북동쪽으로 뻗어 있다. 이들 온천의 수온은 비교적 높으며 대부분 50°C 이상이며 최대 88°C까지 도달할 수 있습니다. ④ 금주 단층은 최근 장기간 활동하는 단층입니다. 이 구역, Xiongyue 및 기타 지역을 따라 금주 단층에서 파괴적인 지진이 많이 발생하여 적당히 강한 지진대가 형성되었습니다.
그림 2-1-4 Gaojiafangshen Jinzhou 단층 단면(Yang Wenyuan, 1985에 따름)
1 - 안산 그룹 편마암 2 - 사암이 층층이 있는 시니안 셰일 3 - 균열 구역; ; 4 - 제4기 황토형 황토
장허 단층은 개발구에서 북쪽으로 7km 떨어져 있으며, 진저우 치리좡 근처의 진저우 단층과 교차하며 개발구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일정한 영향을 미칩니다. 장허 단층은 고대에 간헐적으로 활동하는 지역 단층으로 북동 45~50° 방향으로 뻗어 있고 남동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경사각은 80°이다. 신생대 이후 단층 활동이 있었고, 단층굴 연대 결정은 신생대부터 후기 홍적세(N2-Q3)까지 강한 활동이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단층 활동으로 인해 북쪽 판과 남쪽 판이 차등적으로 상승 및 하강했습니다. 북쪽 판인 Daheshang Mountain은 계속 상승하여 남쪽 판의 높이가 664m에 이르렀습니다. 시추를 통해 홍적세 진흙과 자갈 축적의 바닥 경계는 해수면보다 10m 이상 두꺼운 58.83m의 초기-중간층이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1958년부터 1972년까지의 레벨링 측정 결과, 서쪽 벽에 대한 동쪽 벽의 상승 속도는 약 2mm/a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장허(Zhuanghe) 근처에는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진원지가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 벨트를 따라 지열 이상 현상도 있습니다. 온천은 분명히 단층을 따라 분포되어 있습니다.
진저우 지진 관측소는 1978년부터 1982년까지 좡허 단층에 대해 교차 단층 평준화 측정을 실시한 결과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좡허 단층이 최근 조용했고 뚜렷한 차등 리프팅 움직임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풀란디안 단층은 북서쪽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길이가 약 80km에 달하며, 푸란디안의 금주 단층과 교차하며 금주 단층을 자르는 압축 단층이다. 역사적 지진 진원지 분포도를 보면 단층을 따라 진앙이 촘촘하게 분포되어 단층의 활동성이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하이청(Haicheng)과 탕산(Tangshan)에서 발생한 두 번의 대지진 전후에 이 지역의 거시적, 미시적 강도는 매우 강했고 강도도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피코 단층대는 남북 길이 80km, 동서 폭 20km로 북북동쪽 추력 단층 27개와 북북서 비틀림 단층 20개로 구성돼 있다. 피코우 마을 남쪽에는 탄산천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1972년 이후 규모 MLgt; 1의 지진이 *** 10회 발생했습니다.
총 길이 60km의 빌류허 단층은 남북 압축 단층이다. 이 활동은 제4기부터 뚜렷이 나타났습니다. 강변은 비대칭이며, 빌리우 강 상류에는 절벽이 있습니다. 1969년 3월 4일 단층대 청쯔히토미(Chengzi Hitomi)에서 규모 4의 지진이 발생했다.
하이청허-다양허 단층은 최근 발견된 숨은 활성 단층으로 북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총 길이 130㎞에 달하는 압축-비틀림 단층이다. 하이청강 상류의 절벽에는 뚜렷한 삼각형 표면과 매달린 계곡이 있습니다. 이들의 활동으로 인해 1975년 규모 7.3의 하이청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탄루 단층대는 우리나라 동부에서 가장 웅장한 단층대로, 절단 깊이는 모호평면에 달하고 총 길이는 최대 2,400km에 이른다. 고생대 이전 시대에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제4기까지 여전히 매우 활동적인 단층대였습니다. 단층대의 활동으로 인해 랴오닝 지역은 산둥 지역에 비해 상당히 상승했으며, 요동반도는 하요허 지역에 비해 370m 상승했으며 단층대 내 차동 활동은 최대 1.5mm/a로 강력합니다. 1969년 발해해에서 규모 7.4의 지진이 발생했고, 1922년에는 규모 6.5의 요동만 지진이 발생했다.
발해해협 단층은 북서쪽 45°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길이가 200km에 이른다. 이 단층과 탄루 단층이 만나는 지점에서 규모 6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다.
요컨대 위에서 언급한 균열은 4대 구조계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내며, 모두 경사 연결과 역 연결을 주요 형태로 하는 복합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 단층은 모두 활동성이 강하며, 그 중 금주 단층이 가장 활발하고, 단루 단층과 발해 단층이 중간 정도로 활동적이며, 나머지 단층은 약하게 활동적입니다.
랴오닝 남부 지역은 지각 변형을 기준으로 두 지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변형률이 13~14mm/a인 평탄한 하요허 지역이고, 다른 하나는 변형이 있는 요동 융기 지역이다. 15-18mm/a의 비율. Zhuanghe 및 Chengzikou 근처에서 1938년부터 1958년까지의 레벨 측정 결과는 Yingkou 기점에 비해 레벨이 60mm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970년에 레벨 측정이 다시 반복되었으며 Zhuanghe 및 Chengzikou에서는 레벨 측정이 다시 수행되었습니다. 대련 노선은 잉커우에 비해 60mm 상승했으며, 연간 평균 약 3mm 상승 추세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각 융기는 단층대의 응력 축적과 동기화되어 단층대의 응력 축적이 강도 한계에 도달하면 이러한 구조적 단층이 다시 활성화됩니다. 남부 랴오닝 지역에서는 지각이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일부 단층대는 지진 발생 구조물이다. 1975년 2월 규모 7.3 하이청 지진은 선양에서 가이핑까지 북동방향 변형 속도가 큰 경사대에서 발생했다.
그림 2-1-5 요녕성 남부와 발해 지역의 부게 중력 이상 등고선 도식
(Kong Fanhou et al., 1984에 따름)
2. 지역적 부게 중력이상과 심층지각의 구조적 특성
요녕성 남부와 발해해 지역의 부게 중력이상(그림 2-1-5)의 지역적 특징은 등고선이 대부분 북동쪽과 동서쪽이다. 남쪽과 중앙부는 양의 지역으로 최대 +30×10g.u.이며, 남동쪽에는 거의 동서로 긴 닫힌 원이 나타난다. 북서쪽의 대부분과 북동쪽의 일부는 음수 값 지역입니다. 지역 중력 값은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감소하며 가장 낮은 값은 -100×10g.u에 이릅니다. 총 변화 값은 130×10 g.u입니다. 그 사이에는 5개의 중력 구배 구역이 있는데, 이는 깊은 단층 구역의 존재를 반영합니다.
다롄시는 단둥-좡허 경사지대 남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모호 등압선 지도(그림 2-1-6)는 지각의 두께가 남쪽에서 북쪽으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점차 두꺼워지는 것을 반영하고 있으며, 등압선은 대부분 북동쪽과 동서쪽에 있다 방향. 지각 두께 변화의 특성에 따라 요녕성 남부와 발해의 지각 구조는 맨틀 함몰부와 중앙부, 남부 맨틀 융기부로 구분할 수 있다.
1) 중앙 맨틀 융기 지역: 지각의 두께는 32.3km에서 34.0km 사이로 다양합니다. 맨틀 융기 지역은 대략 34.5km 등심선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지역 중력장의 양의 지역입니다. 중앙 맨틀 융기 지역은 융기 지역이 하나의 함몰부를 사이에 두고 있는 구조적 배치를 갖고 있습니다. 서쪽에는 장우-주화도(Zhangwu-Juhua Island) 2차 맨틀 융기대가 있고, 중앙에는 요하-발해 맨틀 함몰대가 있습니다. 동쪽에는 푸순-창싱(Fushun-Changxing) 2차 맨틀 융기대가 있다.
2) 남쪽 맨틀 상승 지역: 남쪽 맨틀 상승 지역은 단둥-좡허 맨틀 상승대, 성자구 맨틀 상승대, 난푸 맨틀 함몰부를 포함하는 남부 지역의 양의 중력장 지역에 해당합니다. 단둥-좡허(Dandong-Zhuanghe) 맨틀 융기대는 거의 동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북쪽에는 맨틀 급경사가 뚜렷합니다.
3) 맨틀 함몰대: 맨틀 함몰대는 지역중력장의 음수값 영역, 즉 중앙 맨틀 상승 영역을 기준으로 양쪽, 동쪽은 북동쪽을 향하는 기저부 모양의 맨틀 함몰대. 서쪽에는 계단식 맨틀 함몰부가 있다.
이 지역의 맨틀 융기와 맨틀 함몰의 분포는 대부분 동서이며, 그 다음이 북동쪽이다. 동서 맨틀 융기부와 맨틀 함몰부가 동쪽과 서쪽에 분포하고, 북동 경향의 맨틀 융기부와 맨틀 함몰부가 중앙부를 비스듬히 관통한다. 이러한 패턴은 두 건물이 서로 다른 시대와 배경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줍니다. 동서골격은 중생대 이전 고대 판구조 운동의 특성을 반영하며, 응력의 방향은 남북이다. 북동 경향 구조는 신생대 이후 지각이 서태평양 판의 섭입으로 인한 북서-남동 응력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줍니다. 지각이 얇기 때문에 맨틀 융기부의 국부적 볼록부, 맨틀 융기대 교차점, 맨틀 경사대, 맨틀 함몰 가장자리 및 맨틀 융기대의 회전 끝 부분에는 깊은 단층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 지대는 또한 응력집중지대로서 보통 및 강한 지진이 발생하며 이는 요동반도 지진의 공간적 분포와 일치한다.
그림 2-1-6 랴오닝 남부와 발해의 모호 등압선 도식(Kong Fanhou et al., 1984에 따름)
1—모호 등압선(km) 2 - 크기 5보다 작음, 4 - 온수점, 5 - 맨틀 함몰 경계, 지진 활동
p>지각 활동의 현재 징후입니다. 그 강도, 빈도 및 시공간적 규칙성은 연구 지역의 안정성에 결정적인 의미를 갖습니다. 대련 지진 관측소의 관측 통계에 따르면 1493년부터 현재까지 669건의 지진이 발생했으며 그 중 ML ≥ 3.5가 29건으로 전체의 4.3%를 차지하며 진원 깊이는 일반적으로 15~20km를 초과하지 않습니다. 얕은 지진. 1853년 이후 진저우(Jinzhou) 근처에서는 규모 이상의 지진이 세 번 발생했는데, 그 중 가장 큰 지진은 규모 6으로 파괴적인 지진이었습니다.
지진분포의 시공간적 특성의 관점에서 볼 때, 이 지역의 지각활동은 다음과 같은 기본규칙을 갖는다.
1) 역사적 지진 진원지의 분포와 지각 배경(그림 2-1-3)의 관계로 볼 때, 70%의 작은 지진 활동은 다양한 속성의 단층 활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새로운 캐세이시안 시스템. 최근에는 1966년 규모 7.4 발해 지진, 1978년 규모 5.9 하이청 지진 등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다. 규모 5 이상의 지진도 여러 차례 발생했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진도 6의 지각 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 배경 조건이 있습니다. 네오캐세이시안 시스템에 의해 통제되는 것 외에도 이 지역의 지진은 구역 구조 벨트의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하며 두 구역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지진이 발생하기 쉬우며 진저우는 그러한 위치에 있습니다. 1975년 하이청지진 이후에도 소규모 지진이 여러 차례 발생했다.
2) 심부 지진구조(그림 2-1-6)의 관점에서 볼 때 탄루 단층대와 장허 단층대는 모두 맨틀 상승과 맨틀 함몰 사이의 전이대에 위치한다. 지진은 오랜 역사 동안 많은 강한 지진이 발생한 잉커우-하이청(Yingkou-Haicheng) 지역과 같은 맨틀 융기대의 국지적인 융기에 주로 분포합니다. 또한 맨틀 융기대가 만나는 지점에서도 지진 활동이 강하다. 예를 들어, 푸순-창싱 맨틀 상승대와 단둥-좡허 맨틀 상승대가 교차하는 진저우 근처에서는 1961년 규모 6의 강한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3) 지진이 발생한 시기로 볼 때 1800년부터 1890년까지는 반도의 금주활동단층지대에서 1855년 12월 11일에 규모 5.5의 지진이 일어났고, 1856년에는 지진이 일어났다. 1861년 4월 10일 규모 5.25, 1861년 7월 19일 규모 6, 1859년 잉커우에서 규모 5, 1885년 규모 5의 파괴적인 지진이 다섯 차례 발생했다. 1890년부터 1940년까지의 기간은 조용한 시기였으며, 한반도에서는 규모 5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1940년부터 활동기에 들어섰다. 1940년 8월 5일 Xiong Yue의 레벨 5.75, 1969년 9월 23일 레벨 4.25, 1975년 2월 4일 Haicheng의 레벨 7.3, 1978년 레벨 5.9 등 연속적인 사건이 있었다. 지진.
요약하면 현대 요동반도의 지진활동 기간은 약 90년, 휴지기 기간은 약 50년이다. 이 계산에 따르면 한반도가 안정기에 진입하는 데는 40~50년이 걸린다. 긴 활동 기간과 짧은 휴지기의 특징은 지각의 불안정성을 다시 한번 보여줍니다. 또한, 지진 발생 시기로 볼 때 금주(金州) → 잉커우(營丘) → 슝우에(興豆) → 하이청(海昌) 순으로 지진이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반도의 진앙이 금주 단층의 양끝을 따라 반복적으로 반등을 하였을 가능성이 100년 이상에 걸쳐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소규모 지진의 추세로 볼 때 진앙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4. 지역 안정성 평가
(1) 안정성 추세 분석
이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불안정 요인은 지진입니다. 지각 구조 환경, 구조 활동 및 시스템 복합 관계, 응력 집중 조건, 현재 응력장 작용 방법, 해당 지역의 에너지 축적 및 방출은 모두 이 지역에서 중간 및 강한 지진 발생에 대한 지진 발생 조건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불안정한 요인을 아래에서 분석합니다.
1) 금주 단층 남단의 깊은 지각 구조 환경은 단둥-좡허 맨틀 융기부와 푸순-창싱 맨틀 융기부가 교차하는 지점으로, 금주 단층과 장허 단층이 만나는 곳이다 Qilizhuang 근처 지각이 얇고 응력이 집중되기 쉬운 단층 잠김 지역으로 변형 에너지 축적에 도움이 됩니다. 90년을 활동기간으로 본다면 앞으로 50년 동안 규모 6에 해당하는 변형에너지를 갖는 지진이 계속 발생할 것입니다.
2) 거의 동서 방향의 지각 응력이 돌출된 상태에서 북북동 방향의 단층 구조는 왼쪽으로 비틀린 상태로 돌출된 반면, 북서 방향의 단층 구조는 오른쪽으로 비틀린 상태. 둘 사이의 교차점에서는 변형 에너지의 축적에 도움이 되고 지진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금주 단층의 남쪽 끝은 그러한 구조적 배경에 있습니다.
3) 금주 단층은 요동 융기부와 요하 저지대 사이의 전이 지대에 위치하며 지압이 집중되어 있는 위치이다.
4) 금주 지역 주변 육지와 바다에서는 최근 수십 년 동안, 특히 1975년 하이청 지진 이후 소규모 지진이 여러 차례 발생해 이 지역의 지각이 불안정한 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5) 금주 단층의 두 판 사이의 상대적인 차동 활동은 1980년 이후의 금주 수준 관측 데이터에 따르면 이 차동 운동의 속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농축되어 있다(표 2-1-4).
표 2-1-4 금주 단층 두 판의 상대적인 차동 이동 속도는 1980년부터 1984년까지 날로 증가하고 있다
(Yang Wenyuan, 1985에 따르면)
6) 역사적 지진 진원지의 이동 패턴으로 볼 때 진저우 단층 지진 진앙지에서는 반복적인 반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7) 구텐베르그-리히터 공식(2-1-1)의 계수 a와 b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보면 앞으로 강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다.
lgN=a-bM (2-1-1)
수식에서 N은 관측 기간 동안 M 규모 지진의 총 횟수입니다. M은 규모 a입니다. 크고 작은 지진의 비율 b는 지진 활동 수준입니다. 계수 a와 b는 1930년부터 1982년까지 대련지역을 대상으로 재귀적 누적 규모-량 곡선(그림 2-1-7)을 작성하고 최소자승법(표 2-1-5)을 이용하여 구한다.
그림 2-1-7에서 볼 수 있듯이, 반도 남부는 소규모 지진의 빈도가 높고, 중강도 지진의 빈도가 낮으며, 규모에 따른 지진은 명백히 부족합니다. 5~6. a와 b 값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데, 이는 한반도의 지진 활동이 상당히 강화되어 지진이 빈번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최근 탄루 단층의 강력한 활동 및 반도가 또 다른 활동기에 접어들었다는 추론과 일치합니다. 1940년 이후.
b 값은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금주 단층 남단이 지진 준비 단계에 있음을 나타내며, 국지적 응력 축적 에너지가 지진 임박 상태에 도달하면 b 값이 체계적으로 감소하여 강진이 임박했음을 나타냅니다. .
표 2-1-5 1930년부터 1982년까지 대련 지역의 크고 작은 지진 비율(a)과 지진 활동 수준(b)
(양원위안(Yang Wenyuan)에 따르면, 1995 )
그림 2-1-7 1930년부터 1982년까지 대련 지역의 반복적 누적 크기-주파수 곡선
(Yang Wenyuan, 1985에 따르면)
8 ) 미래 지진 진도 추정을 계산하기 위해 다음의 경험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시 건설에 지구물리학적 탐사 및 지구화학적 탐사 방법의 적용
수식에서 Ms는 미래 지진입니다. 크기, L은 미래 에너지 방출 활성 단층 길이(km), Imax는 미래 진원지 강도입니다. 표 2-1-6은 식 (2-1-2)(, 2-1-3)을 이용한 계산 결과로 진저우 단층 남쪽 끝에서 규모 6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그리고 미래의 진앙 강도는 8.0이 될 것입니다.
(2) 지진강도 충격장효과
지진강도 충격장은 단층에 의해 방출되는 에너지로 인해 주변 건물에 미치는 피해의 범위와 강도를 중심으로 한다. 진원지는 점차 바깥쪽으로 쇠퇴합니다. 만약 미래의 지진이 표 2-1-6에서 예측된 불안정한 위치에서 실제로 발생한다면, 그 영향장은 개발지역과의 거리에 따라 다른 차이를 보일 것이며, 식 (2-1-4)에 따라 계산된다. 충격강도는 다음과 같다. 표 2-1-7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표 2-1-6 향후 대련지역 지진 예측
(Yang Wenyuan, 1985에 따르면)
표 2-1-7 예상되는 미래 대련 지역의 지진 영향의 강도
(Yang Wenyuan, 1985에 따르면)
도시 건설에 지구물리학적 탐사 및 지구화학적 탐사 방법의 적용
공식에서 , I는 충격 강도, S는 강도 감쇠 계수, Imax는 진앙 강도, H는 초점 깊이(km)입니다.
대련경제개발구에 영향을 미치는 지진단층으로는 표 2-1-7을 보면 금주단층 남단(진도 8도에 달할 수 있음)과 단루 단층과 발해 해협 단층의 교차 구역(강도는 7.5도에 도달할 수 있음), 기타 단층의 지진 충격 강도는 6도 이하이며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3) 지진 현장 영향
실제 충격 강도는 규모, 초점 깊이, 진앙 거리뿐만 아니라 현장의 지질 구조, 기초 토양 유형, 지하수, 지형 및 영향과 관련된 기타 요인.
개발구는 금주단층 남단에서 8㎞ 떨어진 곳으로, 8도 위험지대 가장자리에 있다. 금주 단층과 장허 단층의 복합 영향 구역 내에서는 지형이 매우 다양하며 높이 차이가 최대 664m에 달합니다. 암석은 파편화되고 서로 산재해 있으며 단층의 주맥을 따라 단층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 편암화가 극도로 발달하여 암반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개발구 표층은 대부분 홍적세 후기 충적황토형 황토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제 측정에 따른 허용지지력은 30~60tf/m2
1tf/m2( 평방 미터당 톤 힘) = 9806.65N /m2(평방 미터당 젖소) = 9806.65Pa(파스칼)(국제 단위계). . 위 상황에 따르면, 현장 근처에는 대규모 활성 단층이 없지만, 향후 수십 년 내에 규모 6의 지진이 발생할 배경이 있는 지진 지질 조건이 존재합니다. 기초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토양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내진 대책에 주의해야 하며 강도가 8도 이상인 요새를 갖추어야 합니다.